[한국사의 안뜰] 300년간 이어진 호랑이와 군병들의 처절한 전투
|
보석사 감로도(1649년) |
|
호랑이는 17∼19세기 산신도와 민화, 판화의 소재로 자주 등장한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
옛 기록에는 호랑이를 죽이거나 포획하는 것을 ‘착호(捉虎)’라고 했다. 조선 전기에는 호랑이 잡는 특수 군인인 착호갑사(捉虎甲士)와 착호장(捉虎將)을 두어 대응하였다. 그러나 활과 창만으로 무장한 이들은 오히려 호랑이에게 쫓기는 사냥감 신세가 되기도 했다. 17세기 이후에는 호랑이를 잡는 주체와 방법이 바뀌었다. 훈련도감의 군병들이 호랑이를 제압하는 선봉에 서서 맹위를 떨쳤다. 이후 약 300년간 호랑이와 군병들이 벌인 처절한 사투가 시작된 것이다. 훈련도감 군병들의 착호에 관한 기록은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에 소장된 ‘훈국등록(訓局謄錄)’, 즉 과거 도성의 수비를 맡았던 훈련도감에서 작성한 업무일지에 자주 나온다.
|
구한말 서울 외곽에서 카메라에 잡힌 호랑이 사냥꾼들. 한 손에는 곰방대를, 한 손에는 총을 들고 있다. 영국인 허버트 폰팅 촬영 |
|
남장사 소장 감로도(1701) |
호환의 가장 큰 피해자는 단연 백성들이다. 인명피해에 관한 정확한 통계자료는 없지만, 호환이 심한 해에는 상상을 뛰어넘는 피해를 입었다. 예컨대 선조 4년(1571) 10월, 하얀 눈썹을 한 늙은 백호(白虎)가 지금의 고양시 등지에 출몰하여 사람과 가축 400여 두(頭)를 죽였다고 했다. 지금 들어도 충격적인 사건이다. 이에 분노한 선조는 호랑이와의 전면전을 선포하고서 대규모의 사냥에 총력을 기울였지만, 아쉽게도 그 이후의 상황은 기록에 나오지 않는다.
◆호랑이 잡는 매뉴얼
조선 전기에는 착호의 실적을 올리기 위해 호랑이 잡는 매뉴얼인 절목(節目)을 자주 만들었다. 일종의 시행세칙인 절목에는 호랑이 퇴치에 관한 최신 정보들이 소개되어 있다. 예컨대 사람이 직접 호랑이와 대면하지 않아도 될 함정과 궁노(弓弩), 기계 등으로 호랑이 잡는 것을 적극 권장하였다. 또한 지방에서는 착호인(捉虎人)을 지정해 두었다. 이들은 평시에 생업에 종사하다가 수령이 소집령을 내리면 바로 호랑이 포획에 나서게 하였다. 이를테면 호랑이를 퇴치할 예비군제도를 운영한 셈이다.
시행세칙에는 호랑이를 잡는 군병들이 경계해야 할 항목도 나와 있다. 예컨대 호랑이를 쫓는 추격전이 벌어질 때면 군병들이 논밭을 망가뜨리기도 했고, 민가에 머물며 백성들에게 직간접적인 피해를 끼쳤다. 이렇게 되면 군병의 폐해가 맹호보다 더 심하다는 말이 나올 만하다. 따라서 정조 임금은 도성 안에 호랑이가 들어오면 도성 밖 먼 곳으로 몰고 나간 뒤 거기에서 잡도록 하여 백성들에게 폐를 끼치지 않도록 하였다.
◆포상과 실적
훈련도감 군병들이 호랑이를 잡으면 후한 상을 주었다. 착호는 군병들의 당연한 임무일 텐데, 왜 별도의 상을 주었던 것일까. 시상은 착호의 특수성을 고려한 조치였다. 착호는 위험을 무릅쓰고 때로는 목숨을 걸어야 하는 일이었기에 포상이 없거나 미약하면 그 실적도 매우 낮았다.
|
윤진영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
일제강점기의 통계자료를 보면서 베일에 싸였던 흥미로운 사실 하나를 확인하게 된다. 조선 팔도를 호환의 공포로 몰아넣은 주범은 호랑이만이 아니었다. 그렇다면 호랑이 외에 다른 공범이 있었던 것인가. 그것은 표범으로 확인된다. 한반도에 호랑이와 표범이 함께 모습을 드러낸 것은 역사가 매우 오래다. 놀랍게도 선사시대 유적인 반구대 암각화에도 호랑이와 표범으로 보이는 동물이 함께 등장한다. 줄무늬는 호랑이, 점무늬는 표범으로 볼 수 있다.
|
조선의 마지막 호랑이를 둘러싼 이야기를 다룬 영화 대호. |
◆호랑이, 역사의 막을 내리다
훈련도감이 해체된 1882년 이후 약 30년간은 민간의 전문 사냥꾼들이 맹활약을 펼쳤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호랑이가 완전히 사라진 것은 일제강점기 때 시행한 ‘해수구제(害獸救濟)’책에 따른 대대적인 호랑이 사냥 때문이었다. 따라서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호랑이의 개체 수는 멸종을 피할 수 없을 정도로 급격히 줄어들었다.
임진왜란 이후 약 300년간 도성을 지킨 훈련도감 군병들의 삶은 최근 ‘훈국등록’의 연구로 인해 되살아나고 있다. 여기에 기록된 착호는 군병들이 목숨을 담보로 호랑이와 사투를 벌였던 생생한 이야기들이다. 백성들의 생명을 지키고 보호하는 민생치안을 위해 호환은 국가에서 대응하였고, 그 중심에 훈련도감 군병들의 값진 희생이 있었다. 조선시대의 착호에 관한 놀랍고 충격적인 기록들을 들추어 보자면 도심에 출몰하는 멧돼지가 순간 친숙하게 느껴지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윤진영 한국학중앙연구원 책임연구원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李대통령 “아내가 내 소비쿠폰까지 다 써버려”…시장 깜짝 방문
- ‘레슬링의 전설’ 심권호, 알코올 중독? 몰라보게 달라진 얼굴에 ‘건강 루머’ 입 열었다
- 유승준, 한국 오려는 진짜 이유가…싸이 “명백한 내 과오이자 불찰” [금주의 사건사고]
- 이영애, 쌍둥이 아들·딸 공개…아이돌 비주얼
- ‘82년생 동갑내기’ 여배우들의 미모 대결, 승자는?
- 김희선, 딸 공개되자 난리 난 반응…“영재라더니 자식농사 대성공”
- “냄새 맡았을 때는 이미 늦었다”…당신도 하고 있는 ‘위험한’ 실수
- “국민 생선이었는데…앞으로 못먹는다고?” 폐사 속출 이유 보니
- 54세 맞아? 방부제 미모 뽐낸 ‘톱 여배우들’
- 공복에 커피 마신 탓? 소리 소문 없이 뱃속에서 자라난 ‘종양’…무슨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