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삐풀린 물가] 계란·치킨·라면·햄버거 줄인상..서민가계 직격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하루가 멀다고 이어지는 생활물가 상승세는 특히 서민 가계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계란, 닭고기, 치킨, 햄버거, 라면, 탄산음료 등 가격이 인상된 품목들이 서민들의 한 끼 식사나 간식, 외식 메뉴로 애용되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BBQ 관계자는 "가맹 전단 등을 통해 가격 인상 사실을 사전에 고지했다"며 "이번 가격 인상 역시 이미 지난달 초부터 예정됐던 것으로, 당시 한꺼번에 올리려 했으나 부정적인 시각이 많아 두 차례에 나눠서 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연합뉴스) 정열 기자 = 최근 하루가 멀다고 이어지는 생활물가 상승세는 특히 서민 가계에 큰 부담을 주고 있다.
계란, 닭고기, 치킨, 햄버거, 라면, 탄산음료 등 가격이 인상된 품목들이 서민들의 한 끼 식사나 간식, 외식 메뉴로 애용되는 것들이기 때문이다.
대표적인 것이 치킨이다.
'국민 간식'으로도 불리는 치킨은 지난달 초 BBQ를 시작으로 KFC, 교촌치킨 등이 주요 제품의 가격을 잇달아 올렸거나 올릴 예정이다.
특히 가격 인상의 '총대'를 멘 BBQ는 주요 업체 중 가장 먼저 일부 품목의 가격을 올리더니 한 달여 만인 지난 5일부터 또다시 20가지 제품 가격을 전격 인상했다.
BBQ 관계자는 "가맹 전단 등을 통해 가격 인상 사실을 사전에 고지했다"며 "이번 가격 인상 역시 이미 지난달 초부터 예정됐던 것으로, 당시 한꺼번에 올리려 했으나 부정적인 시각이 많아 두 차례에 나눠서 한 것"이라고 밝혔다.
오래전부터 가장 저렴하고 구하기 쉬운 단백질 공급원으로 사랑받아온 계란의 가격도 사상 최악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여파로 30개들이 한 판에 1만원 안팎까지 치솟아 서민 가계의 주름을 깊게 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중순 AI가 창궐하기 이전 계란 한 판의 평년 가격은 5천원대였다. 가격이 반년 만에 2배 가까이 폭등한 셈이다.
더욱이 이 같은 계란값 고공 행진 추세는 올해 내내 지속할 것으로 예상돼 서민 가계에 미칠 파급 효과가 만만치 않을 전망이다.
초등생 자녀 2명을 둔 주부 임 모(36·서울 은평구) 씨는 "고기는 비싸서 자주 사 먹기 힘들고 그나마 계란이 애들 반찬으로 가장 만만했는데 지금은 계란이 고기만큼이나 비싸졌다"며 "언제쯤 떨어지나 했는데 그냥 이 가격으로 고정될까 두렵다"고 말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이형우 축산관측팀장은 "AI 추가 확산이나 여름철 폭염 등이 변수인데, 올해 안에는 계란 가격의 평년 수준 회복이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며 "내년 1~2분기나 돼야 계란 생산이 정상화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최근 극심한 가뭄에 따른 작황 부진으로 채소와 과일 가격도 들썩이고 있다.
1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에 따르면 양파 1㎏(상품 기준) 가격은 1년 전보다 34.7%나 급등한 2천43원에 거래되고 있고, 대표적 여름 과일인 수박(상품 기준) 가격도 1만7천629원으로 1년 전보다 21.3%나 뛰었다.
토마토(1㎏)는 2천971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1% 올랐고, 참외(10개 기준)도 1만4천985원으로 7.7% 상승했다.
대표적 서민 음식인 라면 가격도 최근에 올랐다.
삼양식품은 지난달 1일부터 삼양라면, 불닭볶음면, 짜짜로니 등 주요 브랜드 제품 권장소비자가격을 평균 5.4% 인상했고, 앞서 농심도 신라면, 너구리 등 12개 브랜드의 권장소비자가격을 평균 5.5% 올렸다.
주머니가 가벼운 젊은층과 서민들이 외식 메뉴로 즐겨 찾는 햄버거도 지난 1월 맥도날드에 이어 2월에는 버거킹이 가격을 올렸고, 칠성사이다와 펩시콜라 등을 생산하는 롯데칠성음료와 코카콜라도 최근 잇따라 가격을 인상했다.
스티커즈와 엠앤엠즈 등의 제품으로 잘 알려진 초콜릿 업체 한국마즈도 이달 중순부터 할인점과 슈퍼마켓에서 판매되는 주요 제품의 가격을 평균 7.1% 올리기로 하면서 가격 인상 대열에 동참했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탄핵 사태로 권력 공백기가 오래 지속된 데다 새 정부 들어서도 조각이 지연되면서 물가 관리에 구멍이 뚫린 것 같다"며 "상대적으로 여유가 있는 고소득층보다는 안 그래도 살림이 팍팍한 서민층이 더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passion@yna.co.kr
- ☞ 추신수, 시즌 8호 홈런…아시아 빅리거 최다안타 공동2위
- ☞ 3사관학교 대령이 여군 소령에 '성범죄 대리합의' 지시
- ☞ "술 막았더니 마약 늘어"…인도 케랄라 주, 술 판매 제한풀어
- ☞ 美 링컨기념관 앞 연못에 기생충 '득실'…오리 떼죽음
- ☞ 도 넘은 힙합 디스 문화…법적 대응까지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중국서 뛰던 28세 가봉 축구대표 부펜자 사망…건물 11층서 추락 | 연합뉴스
- 이창호, 끝내기서 유창혁 제압…시니어 세계바둑 초대 우승 | 연합뉴스
- "생물학적 여성이 여자"…영국, 대법원 평등법 해석에 격변예고 | 연합뉴스
- [샷!] "지브리 프사, 예술에 대한 모욕처럼 느껴져" | 연합뉴스
- 66년 노래한 이미자 "음정 하나 실수도 용서 안돼 마지막 공연 결심" | 연합뉴스
- 전주페이퍼 공장서 종이 찌거기 재 분출 사고…3명 전신화상(종합) | 연합뉴스
- 음주측정거부 혐의 50대 1심 유죄 → 2심 무죄로 뒤집힌 까닭 | 연합뉴스
- 검찰, '선우은숙 친언니 강제추행' 유영재에 2심도 징역 5년 구형 | 연합뉴스
- '돈세탁 실형' 페루 前대통령 부인 망명…도피 논란 | 연합뉴스
- "사랑하지만 지켜줄 수 없어"…종잡을 수 없는 트럼프의 일본관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