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항쟁 30년] 이한열 모친 “촛불 대통령은 민주주의 완성해야”

[6월 항쟁 30년] 이한열 모친 “촛불 대통령은 민주주의 완성해야”

박재홍 기자
박재홍 기자
입력 2017-06-09 23:04
업데이트 2017-06-10 00: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0주기 정치인·학생 등 추모객 북적 “아들 죽음의 아픔은 벗어버리시길…”

“30년간 같은 이야기를 너무 많이 하고 살았습니다. 하지만 그간 우리 한열이의 죽음을 기억해 주신 분들, 매년 이날 여기서 이렇게 추모제를 개최할 수 있게 도와주신 분들의 노력은 우리나라에 진정한 민주주의를 이루려는 바람에서 비롯된 것으로 생각합니다.”
30년 지났어도…보고 싶은 내 아들 한열아
30년 지났어도…보고 싶은 내 아들 한열아 6·10항쟁 30주년을 하루 앞둔 9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한열동산에서 열린 이한열 열사 추모식에서 이 열사의 어머니 배은심씨가 추모객들에게 소회를 말하고 있다.
박지환 기자 popocar@seoul.co.kr
9일 서울 서대문구 연세대 ‘한열동산’에서 열린 이한열 열사의 30주기 추모제 연단에 선 어머니 배은심(77)씨는 “한열이의 죽음으로 괴로워했던 사람들이 오늘부터 그 아픔을 벗어버리고 살았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당시 연세대 경영학과 2학년생이던 만 21세의 이 열사는 1987년 6월 9일 학교에서 열린 ‘6·10대회 출정을 위한 연세인 결의대회’ 시위 도중 최루탄에 머리를 맞아 쓰러졌고 ‘6월 항쟁’이 전국으로 퍼지는 계기가 됐다. 하지만 27일 뒤인 7월 5일 사망했다.

이날 추모제에는 250여명이 모였고 당시 연세대 총학생회장이었던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을 비롯해 같은 당 문희상·원혜영·송영길 의원 등이 참석했다. 우 의원은 추도사에서 “30년간 매년 추모제를 열었지만 한때는 추모객이 거의 없어 국민들이 민주주의를 잊는 것이 아닌가 두려움도 있었다”며 “하지만 지난해 겨울 거리를 가득 채운 수십만 명의 국민들을 봤다. 지금은 이 열사도 하늘에서 자신의 꿈이 더 진전될 수 있다는 희망을 가질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용학 연세대 총장은 앞으로 이 열사를 중심으로 우리나라 학생운동 역사를 연구하고 이를 책으로 집필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대학생들은 30년간 우리나라 민주주의가 크게 발전한 점은 인정했지만 청년들이 겪는 또 다른 어려움을 토로했다. 심산하(23·연세대 국제학부)씨는 “과거 이한열 열사를 비롯한 당시 20대 세대들의 노력으로 지금 우리나라가 그때보다 발전한 민주주의를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감사하고 경외로운 마음이 있다”며 “하지만 투쟁의 대상이 명확했던 30년 전 청년세대와 달리 지금 우리 세대들은 좀더 혼란스러운 시대에 사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 참가자들은 오후 6시 15분부터 서울광장~광화문 구간에서 ‘이한열 장례행렬 재현 행사’ 및 추모공연을 열었다. 연세대에 이어 서울광장에서 열린 문화제에 참석한 배씨는 “촛불시민 여러분이 큰일을 했다. 촛불 대통령은 앞으로 노동자·농민이 자기 목숨 스스로 끊는 일이 없도록 민주주의를 완성해야 한다”고 말했다. 문화제에는 이한열기념사업회 관계자와 시민 2000명(주최 측 추산)이 참가했다.

박재홍 기자 maeno@seoul.co.kr

2017-06-10 6면
많이 본 뉴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