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인류 기원 '호모사피엔스' 약 30만년 전에도 살았다

김민수 기자 2017. 6. 8. 0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약 20만 년 전에 출현했을 것으로 추정됐던 현생 인류의 기원인 '호모사피엔스'가 30만 년 전에 출현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연구진은 "두개골의 내부 형태가 뇌의 형상을 반영하는데 최근 네안데르탈인에서 추출한 고대 DNA를 비교하면 뇌와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가 현대인과는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진 호모사피엔스는 형태와 크기가 약간 다르지만 현대 인류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약 20만 년 전에 출현했을 것으로 추정됐던 현생 인류의 기원인 ‘호모사피엔스’가 30만 년 전에 출현했을 가능성이 제기됐다.

연구진이 복원한 제벨 이르후드 동굴의 호모사피엔스 화석 두개골 형상/네이처 제공

세계적인 연구기관인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의 진화인류학 연구를 하고 있는 쟝 자크 허블린(Jean-Jacques Hublin) 교수 연구진과 모로코의 국립고고학유산연구소 벤 은서(Ben-Ncer) 교수 연구진으로 이뤄진 공동 연구팀은 모로코의 ‘제벨 이르후드(Jebel Irhoud)’ 동굴에서 발견한 석기와 동물 뼈, 인류 화석 뼈를 분석한 결과를 학술지 ‘네이처’ 7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결과로 우리 인류 종이 20만 년 전이 아닌 약 30만 년 전에 출현했다는 사실을 새롭게 밝혔다.

지금까지 학계에서 알려진 가장 오래된 호모사피엔스 화석은 아프리카의 에티오피아에서 발견됐다. 이 화석은 약 19만 5000년 전 화석으로, 과학자들은 지금까지 오늘날 인류가 약 20만 년 전 동아프리카에서 살았던 호모사피엔스의 후손이라고 믿었다. 그러나 이번 연구로 20만 년 전보다 10만 년 먼저 북부 아프리카에서 호모사피엔스가 출현했다는 새로운 사실이 밝혀졌다.

허블린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로 호모사피엔스는 아프리카 대륙 전체에서 약 30만 년 전에 퍼져 나간 것으로 파악된다”고 밝혔다.

모로코의 제벨 이르후드 동굴 유적지는 1960년대부터 인류의 화석과 중기 석기 시대 유물이 대거 발견된 것으로 유명하다. 그러나 이 곳에서 발견된 인류 화석은 주변의 지질학적 연대가 불확실해 정확한 기원을 알기 어려웠다. 2004년에 시작된 연구진의 발굴 프로젝트로 호모사피엔스로 추정되는 새로운 화석이 발견된 것이다.

이번 연구에 활용된 화석은 최소 5명의 두개골과 치아, 뼈 등이 포함됐다. 연구진은 정확한 연대표를 작성하기 위해 동일한 퇴적물에서 발견된 부싯돌의 ‘열발광’ 측정법을 이용했다. 이 방법은 주로 토기나 불에 탄 돌에서 구워진 물질의 연대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열발광측정법 분석 결과 30만 년 전의 것으로 밝혀졌다.

제벨 이르후드 동굴의 유물을 발굴하던 쟝 자크 허블린 교수가 인간 유골을 가리키고 있다./네이처 제공

연구진은 “열발광 측정법을 통한 부싯돌의 연대 분석과 인류 화석이 위치한 퇴적물의 연대를 비교해 새롭게 발견한 호모사피엔스의 기원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연대를 분석한 뒤 연구진은 이들 화석이 호모사피엔스의 특성을 지니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마이크로 컴퓨터 단층 촬영법으로 3D 이미지를 수백 장 얻은 뒤 통계학적 형태 분석 방법을 활용해 두개골과 얼굴의 형태를 분석했다. 현재 인류의 특징은 작은 얼굴과 둥근 공 모양의 두개골을 갖고 있다. 분석 결과 제벨 이르후드 동굴의 화석은 현재 인류와 매우 유사한 현대적인 얼굴과 이빨을 갖고 있었으며 두개골은 현재 인류와는 달리 약간 더 크고 길쭉한 형태였다.

연구진은 “두개골의 내부 형태가 뇌의 형상을 반영하는데 최근 네안데르탈인에서 추출한 고대 DNA를 비교하면 뇌와 신경계에 영향을 주는 유전자가 현대인과는 다른 것으로 분석됐다”며 “이번 연구를 통해 밝혀진 호모사피엔스는 형태와 크기가 약간 다르지만 현대 인류와 매우 유사한 특징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또 “이같은 네안데르탈인과 호모사피엔스의 차이는 두뇌 연결성, 두뇌 조직 및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일련의 유전적 변화와 관련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