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경화 "위장전입 죄송"..."위안부 합의 법적 구속력 없어"

강경화 "위장전입 죄송"..."위안부 합의 법적 구속력 없어"

2017.06.07. 오후 5:41
댓글
글자크기설정
인쇄하기
AD
[앵커]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국회 인사청문회에서는 위장전입 등 그동안 제기된 각종 의혹에 대한 강한 질타가 이어졌고, 강 후보자는 과거 사려 깊지 못한 처사로 물의를 일으킨 데 대해 죄송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습니다.

강 후보자는 또 한일 위안부 합의 내용을 비판하면서 법적 구속력이 없고, 일본에서 받은 10억 엔의 성격이 불분명하다고 지적했고, 사드 논란에 대해서는 국내 공론화가 부족했다며 국회 논의가 필요하다고 언급했습니다.

강희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강경화 외교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는 시작부터 후보자를 둘러싼 각종 의혹에 대해 야당의 날카로운 질타가 쏟아졌습니다.

[서청원 / 자유한국당 의원 : 이 정권의 인사 배제 기본 원칙, 5대 원칙 중에서 최소한 세 가지 이상이 위법입니다. 그렇다면 지금쯤엔 뭔가 다른 생각을 해야 할 때가 되지 않았는가….]

[이태규 / 국민의당 의원 : 역대 고위공직자 장관 후보자 중에서 이렇게 실정법 위반 논란이 있었던 후보는 굉장히 찾기 어렵지 않았나….]

강 후보자는 세금 탈루는 뒤늦게 발견했으며, 부동산 투기나 매매가 축소신고 의혹은 몰랐던 일이었고, 논문 표절 의혹은 기술상의 오류였을 뿐이라며 적극적으로 해명했습니다.

다만 앞서 청와대가 밝힌 장녀의 위장전입 논란에 대해서는 공직자로서 판단이 부족했다고 고개를 숙였습니다.

[강경화 / 외교부 장관 후보자 : 공직자로서의 판단이 매우 부족했던 부분이라고 생각하고 해명 과정에 여러 논란으로 인해서 사실이 잘못 전달된 데 대해 대단히 죄송스럽게 생각합니다.]

나눔의 집에 있는 위안부 피해 할머니가 준 배지를 달고 나온 강 후보자는 한일 위안부 합의와 관련해 '불가역적 합의' 등 일부 문구가 군사적 합의에서나 나올 수 있는 말이라고 비판했습니다.

또 한일 장관 간의 합의라 법적 구속력은 없다면서 부족한 부분을 면밀하게 보고 앞으로 나아갈 길을 찾아보겠다고 밝혔습니다.

[강창일 / 더불어민주당 의원 : 돈 10억 엔을 받았어요. 이게 엄청나게 할머니들의 명예를 더럽혔어요. 그리고 대한민국 국민의 자존심을 흔들었습니다.]

[강경화 / 외교부 장관 후보자 :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피해자 중심의 법적 책임과 배상입니다. 이 부분에 있어서 불명확한 점이 있기 때문에 합의서가 불충분했던 게 아닌가 싶습니다.]

사드 배치와 관련해서는 문제의 핵심은 국내 공론화가 부족했고 국민 공감대를 얻지 못했다는 점이라면서 국회 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고 말했습니다.

강 후보자는 사드 배치는 한미가 우리의 안보를 위해 공동으로 결정한 것이라면서도 중국에 고위 대표단을 보내 양국 간 인식 차이를 좁히겠다는 뜻도 내비쳤습니다.

YTN 강희경[kanghk@ytn.co.kr]입니다.


[저작권자(c) YTN 무단전재, 재배포 및 AI 데이터 활용 금지]
당.점.사 - 당신의 점심을 사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