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 & BIZ] 구글, 귀찮은 '앱 다운로드' 없애나
'인스턴트 앱' 등장
다운로드 절차 없애고 PC처럼 홈페이지 접속해 설치없이 검색으로 이용
"AI도 적용할 계획"
모바일 생태계를 주름잡아 왔던 '앱(app)' 경제가 약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최근 실리콘밸리 일대에서 속속 등장하고 있다. 그 신호탄을 쏜 곳이 바로 세계 최대의 인터넷 기업 구글이다.
구글은 지난달 개최한 개발자대회 '구글 I/O'에서 올해 출시할 최신 운영체제(OS)인 '안드로이드O'에서 모든 개발 업체들이 인스턴트(instant) 앱<사진>을 만들어 서비스할 수 있도록 했다. 인스턴트 앱은 다운로드받아 설치해야 하는 앱과 달리 PC의 인터넷 홈페이지처럼 접속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이다.
지금은 스마트폰으로 음식 주문을 하려면 '배달의 민족'과 같은 음식배달 앱을 설치해야 한다. 인스턴트 앱은 스마트폰에서 구글 검색창에 '치킨 배달'이라고 입력해 나온 검색 결과 중 하나를 선택해 들어가 주문부터 결제까지 마무리할 수 있다. PC에서 인터넷 검색을 통해 영화 예약·쇼핑 등을 하는 것과 똑같은 방식을 스마트폰에 적용하는 것이다.
구글은 인스턴트 앱을 인공지능(AI) 비서 서비스인 구글 어시트턴트에도 적용할 계획이다. 구글 어시트턴트에 대고 '영화 예약을 해줘'라고 말하면 인스턴트 앱으로 연결시켜주는 식이다.
이번 행사장에서 만난 구글 관계자는 "인스턴트 앱은 사용자들에게는 앱을 설치하는 불편을 줄여주고, 개발 업체에는 사용자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구글이 페이스북, 우버 등과 같이 수억 명의 이용자를 확보한 막강한 앱을 견제하려는 것"이라고 보고 있다. 예컨대 17억 명이 이용하는 페이스북 앱은 이미 소셜미디어뿐만 아니라, 게임이나 문자 전송과 같은 다른 서비스까지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거대 앱 자체가 구글 못지않은 영향력을 갖춘 것이다. 반면 현재의 앱 대신에 인스턴트 앱이 자리 잡게 되면 이용자들은 구글의 검색창을 거쳐, 소셜미디어·게임·배달 등 각종 서비스를 이용하게 된다. 구글 입장에서는 검색 서비스가 활성화되면 그만큼 주력 매출원인 광고 수익이 늘어나게 된다.
실리콘밸리의 한 IT기업 관계자는 "스타트업들은 구글의 변화를 기회로 여기고 창의적인 아이디어로 인스턴트 앱을 만들 것"이라며 "페이스북과 같은 거대 앱들이 어떻게 대응할지가 관전 포인트"라고 말했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한덕수, 국민의힘 입당…”나는 용병 아닌 식구”
- 관세협상 첫 타결에 달러 가치 오르고 주가·비트코인 상승
- [Minute to Read] Lee Jae-myung adviser asks White House to delay trade talks
- [더 한장]내전에 홍수까지 엎친데 덮친 콩고, 그가 방범창을 택한 이유는?
- 정동이 품은 이야기, 밤이라서 낭만적이네!
- 가처분 기각→단일화 협상 결렬→초유의 대선후보 교체 절차…국힘 ‘혼돈의 밤’
- [모던 경성]소달구지에 실려 온 조선 최초의 피아노
- 동해안 자연산 복어로 끓인 복 맑은탕, 한 그릇에 7700원 초특가
- 29만원 드라이버로 시장 파란 한국 기업 “시니어에겐 우리가 타이틀리스트”
- “산후조리원 낡아서 싫다” 공무원 부부의 이혼 서막 [이별전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