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신분당선.. 이르면 올 연말 파산 가능성
5년간 3700억 손실, 자본금 잠식
의정부 경전철에 이어 2011년 10월 개통한 신분당선도 올해 말이나 내년 초에 파산 위기에 봉착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1일 금융권과 네오트랜스(신분당선 운영사) 등에 따르면, 신분당선은 지난해 말 누적 손실이 3732억원으로 자본금이 완전 잠식된 상태다. 이에 따라 출자자들이 자본금(2123억원) 외에 자금 부족분 약 1700억원을 추가 조달해 사업을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다. 네오트랜스 관계자는 "자금 부족분을 조달할 수 있는 최대치는 금융권 대출 1000억원과 건설사들이 자금 부족분 충원을 약속한 1000억원 등 총 2000억원 수준"이라며 "이미 1700억원을 추가 조달한 상태라 남은 300억원을 더 조달해 쓰고 나면 위기 상황이 올 수 있다"고 말했다.
네오트랜스 측은 "개통 초기보다 승객이 많이 늘긴 했지만 실제 운임 수입이 예상 수입의 50%를 넘지 못해 지금까지 MRG 지원을 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신분당선도 의정부경전철처럼 실제 운임 수입이 예상 수입의 50%를 넘어야 재정 지원을 받을 수 있다. 현재 신분당선의 평일 이용객은 예측 수요(2017년 기준 약 37만명)의 50~60% 수준인 21만~23만명 수준이다. 하지만 주말 이용객은 13만~17만명으로 이보다 더 적고, 무임승차자 등을 고려하면 실제 운임 수입은 예상 수입의 40% 수준에 그치고 있다.
철도 건설, 주변 지역 개발 사업들이 줄줄이 지연되고, 예상보다 높은 무임승차자 비율과 경쟁 교통수단인 광역버스 확대 등 악조건들이 생겼다. 하지만 금융권 등에선 "2022년이면 신분당선이 신사역까지 연장되고, 향후 용산역까지 연장될 예정이라 당장 위기만 넘기면 사업이 안정될 수 있다"는 기대감도 있다. 과거보다 금리가 많이 낮아졌기 때문에 저리 대출로 기존 자금을 대체하는 '자금 재조달' 등을 통해 의정부경전철과 같은 파산 사태는 피할 수 있다는 것이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稅 투입 줄이는 '제한적 MRG'
- 부실 보고서 한 장에서.. '세금 먹는 괴물'이 달리기 시작했다
- 한동훈 “대한민국 위험한 나라 되는 것 막아달라” 승복 선언
- [수락연설 전문] 김문수 “거짓·범죄로 국회 오염시킨 李, 대통령 돼선 안돼”
- 노동운동가 출신 보수 정치인 김문수, 정치 입문 35년 만에 대선 후보로
- [속보] 국힘 대선 후보 김문수 선출 “이재명 막기 위해 어떤 세력과도 연대”
- 서울고법 “셀트리온, 하청 청소인력 직접 고용 안 해도 돼”…1심 뒤집혀
- 李 선거법 사건 파기환송 후 첫 주말...“사법부가 나라 바로세워” “법비에 철퇴를”
- 실종된 6살 딸, 들판에 버려진 옷… 신고한 엄마가 범인이었다
- “미안해”애원에도 또래 여중생 폭행 동영상 SNS 확산…경찰 수사 나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