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미 국토부 장관 후보자. /자료사진=뉴시스
김현미 국토부 장관 후보자. /자료사진=뉴시스

김현미 국토부 장관 후보자가 맞춤형 주거복지, 교통 공공성 강화 등 취임 후 포부를 내놨다. 김현미 후보자(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는 30일 "서민·청년들의 주거문제 해소, 도시재생을 통한 삶의 질 제고, 대중교통 체제 개선, 질 좋은 일자리 창출, 미래형 신산업 육성 등에 전력하겠다"고 국토교통부 장관 내정 소감을 밝혔다.
김현미 후보자는 이날 오후 국회의원회관에서 취재진들에게 이같은 의견을 전했다. 그는 "먼저 주거정책의 패러다임으로 전 국민의 주거복지를 위해 전력을 다할 것이다. 저성장과 소득양극화, 저출산 고령화, 인구구조 변화 등을 감안하면서 세대별, 소득별로 맞춤형 정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또 "매년 17만호의 공적 임대주택을 공급해 주거복지에서 소외받는 계층이 없도록 하겠다. 도시재생 뉴딜 사업을 통해 구도심과 노후 주거지를 살려내면서 많은 일자리를 창출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김 후보자는 이어 "도로, 철도 등 교통체제를 개편해 국민들이 편리하게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아 자율주행차, 드론 등 미래형 신산업을 지속적으로 발굴, 육성해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국토부 산하 공공부문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등 질 좋은 일자리를 만들겠다"는 약속도 덧붙였다.

그러나 김 후보자는 강남 부동산 급등, 수도권 규제 완화 등 현안과 전월세 상한제 등 문재인 대통령 공약 추진계획에 대해서는 후보자라는 이유로 언급을 피했다. 다만 전 정부의 주택담보인정비율(LTV)·총부채상환비율(DTI) 규제 완화에 대해서는 "규제를 푼 것이 가계부채를 낳은 요인이 됐다"고 지적해 규제 강화 가능성을 시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