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기념식. 문재인 눈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1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37주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추모사를 하다 눈물을 흘린 한 유가족을 위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518 기념식. 문재인 눈물. 5.18 광주 민주화 운동. 문재인 대통령이 오늘(18일) 오전 광주 북구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37주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추모사를 하다 눈물을 흘린 한 유가족을 위로하고 있다. /사진=뉴시스

문재인 대통령이 518 기념식에 참석해 눈물을 흘린 가운데 518 유가족이 "아빠가 안아준 것처럼 어깨가 넓게 느껴졌다"고 말했다. 오늘(18일) 문재인 대통령은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념식에서 518 유가족의 사연에 눈물을 흘렸다.
518 광주 민주화운동 당시 탄생과 동시에 아버지를 잃은 김소형씨는 '슬픈생일'이라는 제목으로 1부 기념공연을 꾸몄다. 문 대통령은 추모행사를 보던 중 1980년 5월18일 자신이 태어났다는 소식을 듣고 병원에 가다 희생당한 아버지를 둔 유가족 김소형씨(37)를 포옹하며 위로했다.

추모사를 겸해 돌아가신 아버지에게 보내는 편지를 낭독한 김씨는 참았던 눈물을 흘리며 무대 뒤로 향했다. 문 대통령은 낭독을 마치고 무대 뒤로 퇴장하는 김씨를 예고도 없이 한참을 따라갔다.


김씨는 문 대통령이 따라오는 것을 알지 못하다가 진행요원이 알려주자 뒤를 돌아봤다. 문 대통령은 김씨와 악수하고 한참 동안 안아주며 위로했다.

김씨는 대통령의 품에 안겨 눈물을 쏟았다. 그는 "아버지가 온 것처럼, 아버지가 안아준 것처럼 따뜻하고 포근했다"며 "어깨에 기대 목놓아 울고 싶었다"고 말했다.

'울지 마세요. 기념식 끝나고 아버지 묘소에 참배하러 같이 갑시다'는 문 대통령의 말에 김씨는 겨우 눈물을 참아냈다고 전했다. 또 아버지 묘소를 함께 참배하자던 약속을 지켜준 대통령에게 거듭 감사의 말을 남겼다.


김씨는 "지난 10년 간 5·18 기념식에 오는 발걸음이 너무 무거웠다"며 "왜곡된 기사와 말들로 518이 상처받는 게 싫었다. 그래서 오늘 문재인 대통령의 기념사를 들을 때 가슴이 벅차고 눈물이 났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통령이 약속처럼 진실을 밝혀줄 거라 믿는다. 믿음이 생긴다"고 덧붙였다.

한편 문 대통령은 행사 종료 후 기념공연을 펼친 김씨의 선친 고 김재평씨의 묘역에 참배했다. 또 '임을 위한 행진곡' 가사의 주인공으로 알려진 518 당시 광주 시민군 대변인 고 윤상원씨의 묘역 등도 참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