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대선 재도전 선언..재기 의지 활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가 대선 패배 이후 제기된 정계은퇴설을 일축하며 재기 의지를 강력히 드러내고 있다.
안 전 대표가 이렇게 빨리 정계 복귀 선언과 함께 대선 재도전 의지를 밝힌 것을 놓고 정치권에서는 의외라는 반응을 내놓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시스】한주홍 기자 = 안철수 전 국민의당 공동대표가 대선 패배 이후 제기된 정계은퇴설을 일축하며 재기 의지를 강력히 드러내고 있다. 대선이 끝난 지 1주일도 채 안된 상태인데도 벌써부터 대선 재도전 카드를 꺼내들 정도다.
안 전 대표는 15일 국민의당 당사에서 당직자들과 오찬을 갖고 "다당제 하에서 치러진 대선에서도 전 세대, 전 지역에 걸쳐 고루 지지를 받았다는 것은 그만큼 대한민국 국민 중에서 합리적 개혁을 바라는 분들이 많다는 표시"라며 "다당제 시도는 다시 국민의당 중심으로 더 크게 확산되리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그는 14일에도 지지자들과의 만찬 자리에서 "5년 뒤 제대로 시대정신을 구현하는 사람으로 인정을 받고 결선투표제하에서도 승리할 수 있도록 혼신의 힘을 다하겠다"며 대선 재도전 의지를 드러냈다.
안 전 대표가 이렇게 빨리 정계 복귀 선언과 함께 대선 재도전 의지를 밝힌 것을 놓고 정치권에서는 의외라는 반응을 내놓는다. 실제 대선 이후 정치권에서는 안 전 대표가 3위로 패한 이후 정계 복귀가 쉽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다수였다.
대선에서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에게도 뒤처진 3위로 마감한 데다 정치적 기반인 호남지역에서도 문재인 대통령을 압도적으로 지지했다. 이번 대선 호남의 안 전 대표의 득표율은 문 대통령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호남 출신 의원들의 불만이 안 전 대표로 향하고 있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한 일이다. 안 전 대표가 다른 지역은 몰라도 호남에서는 수위를 차지할 것으로 기대했는데 막상 대션 개표결과 문 대통령의 절반 수준밖에 득표 수가 나오지 않아 결국은 대선으로 인해 지역민심이 국민의당에서 민주당으로 넘어간 것 아니냐는 볼멘 소리를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안 전 대표는 의원 배지를 내려놓음으로써 현역 의원도 아닌 상태이기에 당에서의 역할도 딱히 없는 상태다. 더구나 안 전 대표의 든든한 우군이었던 박지원 전 대표가 대표직에서 사퇴하면서 안 전 대표는 당내 든든한 버팀목마저 상실했다.
이렇다보니 대놓고 안 전 대표의 정계은퇴를 점치는 발언이 나온 것도 무리는 아니다. 송영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9일 "안철수 후보는 사실상 정계 은퇴해야 하지 않겠나. 의원직도 사표를 냈고 3등으로 졌는데 더 이상 정치를 할 명분도 근거도 없다고 본다"고 발언했다.
국민의당 내부에서 조차 비슷한 발언이 등장했다. 이상돈 국민의당 의원은 11일 한 라디오에 출연해 안 전 대표의 정치행보와 관련 "당분간 큰 역할이 있을 것 같지 않다"고 잘라 말했다.
하지만 이 같은 시각과 달리 안 전 대표는 대선 직후 곧바로 정치 일정을 재개했다. 그는 대선 다음날인 10일 국민의당 선대위 해단식에서 "대한민국의 변화와 미래를 위해서 제가 할 수 있는 모든 역할을 다 하겠다"면서 정치를 계속 할 것임을 시사했다.
안 전 대표는 당분간 대중과의 접촉면을 늘리면서 재기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보인다. 18일 광주와 호남을 방문을 시작으로 전국을 순회한다. 대선 전 '뚜벅이 유세'의 연장선인 '2차 국민속으로'도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 2012년 '안풍(安風·안철수바람)'의 출발점이었던 '전국 순회 청춘 콘서트'와 같은 소통 행보로 '제2의 안풍' 실현을 목표에 둔 것으로 보인다.
선대위 수석대변인을 맡았던 손금주 의원은 11일 안 전 대표의 향후 행보와 관련, "서울에서 시작해 광주, 전북 등 전국적으로 그동안 지지해준 국민들께 감사드리는 일정을 잡을 것"이라며 "앞으로 젊은 세대들과 소통을 강화하고 지지를 더 받을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hong@newsis.com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혼 아픔 딛고…김병만, 9월 회사원과 재혼
- 조영구, 56억 날렸다…"주식 투자로 망해"
- "오빠, 더이상 안 만나"…17세 김새론이 김수현에 보낸 카톡
- '7㎏ 증가' 은가은, 5세 연하 박현호와 파혼설 해명…혼전임신 증상
- 이민정, 아들 준후 최초 공개 "얼굴 공개 소원 풀었다"
- 타블로 딸 하루, 15세 된 근황…투컷 "용돈 줄게"
- 안재현 "교통사고로 폐 터져…6개월 병원 누워있었다"
- 이세영, 가슴 성형 후 A→E컵…완벽한 웨딩드레스 자태
- '암투병' 이솔이 "몇 년 살지 모른다? 사실 아냐"
- 75세 유명 男배우, 생방송 중 女배우 강제 성추행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