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무 전병헌, 사회혁신 하승창, 사회수석 김수현 임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정무수석비서관에 전병헌 전 민주당 원내대표, 사회혁신수석비서관에 하승창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 사회수석비서관에 김수현 전 환경부 차관을 임명했다.
전병헌 정무수석은 3선 의원을 지낸 정치인 출신이고, 하승창 사회혁신수석은 오랜 시민운동 경력을 갖고 있다.
사회혁신수석은 시민사회와의 소통과 대화를 담당하며 지역과 사회의 혁신적 활동이 공동체 발전과 국민통합으로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자리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은 14일 정무수석비서관에 전병헌 전 민주당 원내대표, 사회혁신수석비서관에 하승창 전 서울시 정무부시장, 사회수석비서관에 김수현 전 환경부 차관을 임명했다.
전병헌 정무수석은 3선 의원을 지낸 정치인 출신이고, 하승창 사회혁신수석은 오랜 시민운동 경력을 갖고 있다. 김수현 사회수석은 참여정부 청와대에서 근무했고 환경부 차관까지 지냈다.
이 중 하승창 수석과 김수현 수석은 박원순 시장의 서울시에서 각각 정무부시장과 서울연구원장을 역임했다. 임종석 비서실장, 조현옥 인사수석 역시 서울시에 몸담았던 터라 ‘박원순 라인’의 약진이 눈에 띈다.
정무수석은 대통령을 보좌하여 대 국회 및 정당과의 소통과 협력의 정치를 뒷받침한다. 사회혁신수석은 시민사회와의 소통과 대화를 담당하며 지역과 사회의 혁신적 활동이 공동체 발전과 국민통합으로 연결되도록 지원하는 자리다. 사회수석은 보건복지, 주택도시, 교육문화, 환경, 여성가족 등 사회정책 전반에 대한 정책보좌 기능을 맡고 있다.
전병헌 정무수석은 1958년 충남 홍성 출생으로 고려대 정치외교학과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7, 18, 19대 국회의원을 지냈고, 김대중정부에서 정무비서관과 국정상황실장을 역임했다. 이번 대선 문재인 캠프에서는 선대위 전략본부장을 맡았었다.
임종석 비서실장은 “풍부한 국정 경험을 가진 3선 의원 출신이어서 정치 경륜과 정무 감각을 갖춘 중량감 있는 인사를 정무수석에 발탁했다”며 “정당 및 국회와의 소통에 대한 문재인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를 반영한 인선”이라고 설명했다.
하승창 사회혁신수석비서관은 1961년 서울 출생으로 연세대 사회학과를 졸업했다. 시민사회 활동을 장기간 지속해온 시민사회의 대표 인사다. 박원순 서울시장과는 20년 이상 된 깊은 인연을 갖고 있다. 서울시 정무부시장,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정책실장, 시민사회연대회의 운영위원장, 더불어민주당 선대위 사회혁신위원회 위원장 등을 지냈다.
임 실장은 “시민사회와 지역에서 광범위하게 일어나고 있는 ‘풀뿌리 혁신’을 국정에 반영하여 공동체발전과 국민통합을 뒷받침할 적임자”라고 평가했다.
김수현 사회수석비서관은 1962년생 경북 영덕 출생으로 서울대 도시공학과를 나왔다. 서울대에서 도시및지역계획학 박사학위를 받은 도시정책 전문가다. 참여정부의 국정과제 비서관, 국민경제 비서관, 사회정책비서관, 환경부 차관을 지냈다.
임 실장은 “대통령과의 깊은 신뢰 관계와 소통을 바탕으로 대통령의 국정 철학을 사회정책 분야에서 구현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태원준 기자 wjtae@kmib.co.kr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TV·신문 모두 끊고 재판에만 집중..박근혜 전 대통령 근황
- '김복주' 이성경-조혜정, 뒤늦은 '라이브 방송 논란'
- 문 대통령에 화답한 인천공항 "비정규직 1만명 무기계약직화"
- "아들 공익근무요원이라도 희망한다" 이낙연 탄원서·답변서 공개
- 아동 수당 월 10만원, 대학 입학금 폐지..다시 보는 '문재인 공약집'
- 웅동학원 2017년 예산 78만원..조국 모친 세금 체납 원인?
- '추다르크도 주부였다' 민낯에 쓰레기봉투 든 집권여당 대표
- '국정원 대선개입 수사' 박형철 반부패비서관에
- 광주서 다시 제창하는 '임을 위한 행진곡'.. 그 굴곡의 역사
- "글이나 읽어보고 얘기해라" 중앙일보 댓글 조작 논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