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文대통령 국정교과서 폐지 지시…교육계 '환영'

"촛불 민심의 승리…교육과정 개정도 이뤄져야"

(서울=뉴스1) 김현정 기자 | 2017-05-12 17:35 송고
국정역사교과서./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국정역사교과서./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12일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를 교육부에 지시하자 교육계가 환영 입장을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오후 청와대 위민관 집무실에서 교육분야 제 1호 업무로 '국정교과서 폐지'를 요구했다. 이를 위해 2018년부터 적용 예정인 역사교과서 국·검정 혼용 체제를 검정 체제로 전환하도록 수정고시하라고 지시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후보 시절 공약집에서 '이명박·박근혜 9년 집권 적폐 청산' 중 하나로 국정 역사교과서를 폐지를 약속한 바 있다.

교육계는 '촛불 민심'에 부응한 결단이라며 환영했다.

서울시교육청은 이날 교육감 명의의 논평을 통해 "국가가 역사를 농단하고자 했던 이전 정권의 아집은 촛불을 들었던 역사교사, 연구자, 학생, 시민의 힘에 의해 마침내 꺾였다"며 "이는 시민의 승리"라고 환영했다.
시교육청은 이어 "2015 역사과 교육과정과 집필기준이 미래지향적 가치를 담아내도록 이를 개정하는 데 모든 역량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진보 성향의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은 "교육계의 혼란에 종지부를 찍어준 정부의 결단을 환영한다"며 "국정교과서 폐기는 박근혜 정권의 적폐 청산 신호탄으로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전교조는 "교과서는 정치 권력이 손댈 수 없는 교육의 자율적 영역에 속한다"며 "국정교과서 정책과 함께 전교조 법외노조 조치, 교원 성과급제와 같은 교육적폐를 청산해주길 바란다"고 요구했다.

보수 성향의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는 "그동안 국정교과서로 인한 교육현장의 혼란이 컸다"며 "국정교과서를 사용하는 학교가 하나도 없는 상황에서 정부가 확고한 결단을 내렸다"고 평가했다.

다만 교총은 "그동안 검정교과서에 대해 이념 편향성이나 사실 오류 등의 문제점이 계속 지적돼온 만큼 보다 철저한 검증을 통해 더 이상 논란이 재발되지 않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교육계에서는 국정교과서 폐기와 함께 내년부터 적용되는 2015 역사과 개정 교육과정도 수정이 이뤄져야 한다고 주문했다.

485개 교육·시민단체로 구성된 한국사교과서국정화저지네트워크의 한상권 대표(덕성여대 교수)는 "국정교과서의 밑바탕이 됐던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수정, 보완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만들던 검정교과서 제작을 중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초·중·고교 역사교사 2000여명이 회원으로 가입한 전국역사교사모임도 이날 성명을 내고 "절대 다수의 역사교사와 역사학자가 반대한 역사교과서 국정화 추진은 이미 실패가 예견돼 있었다"며 "새 정부의 첫 교육정책이 국정교과서 폐지라는 점에서 적극 환영한다"고 밝혔다.

김태우 전국역사교사모임 회장은 "2015 역사과 교육과정은 친일과 독재를 미화하는 '뉴라이트' 사관이 담겨있다"며 "교과서 폐지와 교육과정 수정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회장은 "충분한 검정교과서 제작기간을 확보하기 위해 새 교육과정이 적용된 검정교과서는 2018년이 아닌 2020년으로 도입 시기를 미뤄야 한다"고 요구했다.


hjkim91@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