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문재인식 ‘비정상회의 정상화’…국정교과서 폐지ㆍ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교육부, 역사교과서 검정체제 수정 고시
-5ㆍ18 기념식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지정

[헤럴드경제=신대원 기자] 문재인 대통령이 임기 초반부터 국정드라이브 페달을 가속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12일 5ㆍ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 때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과 국정 역사교과서 정상화 업무지시에 서명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이날 오후 춘추관 브리핑을 통해 “문 대통령은 국정교과서 정상화 및 5ㆍ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 업무지시에 서명했다”고 밝혔다.

[사진제공=연합뉴스]

이에 따라 지난 몇 년 동안 5ㆍ18 기념식 때마다 반복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둘러싼 논란과 박근혜 정부에서 추진된 국정 역사교과서 논란은 종지부를 찍게 됐다.

윤 대변인은 먼저 국정 역사교과서 폐지와 관련, “국정 역사교과서는 구시대적인 획일적 역사교육과 국민을 분열시키는 편 가르기 교육의 상징”이라며 “이를 폐지하는 것은 더 이상 역사교육이 정치적으로 이용돼서는 안 된다는 대통령의 확고한 의지를 보여준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를 위해 교육부는 2018년부터 적용 예정인 국검정 혼용체제를 검정체제로 즉각 수정 고시할 것을 지시했다”며 “대통령은 검정체제 고시 준비에 차질이 없도록 제반사항을 조치할 것으로 당부했다”고 덧붙였다.

윤 대변인은 아울러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과 관련, “대통령께서는 제37주년 5ㆍ18 광주민주화운동 기념식 제창곡으로 임을 위한 행진곡을 지정해 부르도록 주무부처인 국가보훈처에 지시했다”면서 “이는 정부기념일로 지정된 5ㆍ18 광주민주화운동과 그 정신이 더 이상 훼손돼서는 안된다는 대통령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앞서 취임 이튿날인 11일에는 정치권과 5ㆍ18 광주민주화운동 관련 단체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국론 분열의 우려가 있다는 이유로 임을 위한 행진곡 제창을 거부하고 합창으로 대체하도록 한 박승춘 전 국가보훈처장의 사표를 수리한 바 있다.

shindw@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