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국 민정수석, 대학 2학년 때 친구들 앞에서 판검사 되지 않겠다고 선언 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조국(52)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민정수석으로 임명했다.
부산 출신 조 수석은 서울대 법대와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 로스쿨에서 법학석사와 밥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조 수석은 줄곧 대학에 머무르면서도 법조 감시와 정치 활동에 꾸준히 참여해 정치 참여형 학자로 분류된다.
조국 교수는 과거 한 인터뷰에서 "대학교 2학년 때 친구들 앞에서 판검사가 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육법당'이 될 수는 없다는 판단을했다"고 밝힌바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동아닷컴]
|
부산 출신 조 수석은 서울대 법대와 미국 캘리포니아대 버클리 캠퍼스 로스쿨에서 법학석사와 밥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울산대와 동국대 법학과 교수를 거쳐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지냈다.
참여연대 사법감시센터 소장, 경찰청 경찰혁신위원회 위원, 법무부 검찰인권평가위원회 위원 ,박원순 서울시장 후보 선거대책위원회 멘토단,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했다.
조 수석은 줄곧 대학에 머무르면서도 법조 감시와 정치 활동에 꾸준히 참여해 정치 참여형 학자로 분류된다.
또 보수성향이 강한 ‘강남(서초구)’에 거주하는 대표적 진보 인사로 꼽히기 때문에 ‘강남 좌파’란 별명도 갖고 있다.
조 수석은 부산 혜광고 동문으로 군사정권 시절 고문치사를 당한 고 박종철 씨와도 가까웠다고 한다.
조국 교수는 과거 한 인터뷰에서 “대학교 2학년 때 친구들 앞에서 판검사가 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육법당’이 될 수는 없다는 판단을했다”고 밝힌바 있다. 육법당은 육군사관학교 출신과 법조인이 많았던 민정당을 비꼰 말이다. 그는 “서울대 출입 경찰이 아무 잘못도 없는 날 끌고 가 때리고 소지품 검사를 한 경험도 영향을 줬다”고 밝혔다.
또 지난해 참여연대가 발간한 책에서 “한국 검찰은 ‘준 정당’처럼 작동한다”고 지적하는 등 검찰 개혁에 목소리를 높여왔다. 검찰개혁의 첫 번째 과제로는 “공수처(고위공직자 비리수사처) 신설”을 꼽고 있다. 검찰의 수사권도 경찰에 넘겨줘야 한다는 입장이다.
검찰출신 인사들이 독식해 온 청와대 민정수석에 비검찰 출신이 임명됨에 따라 '문재인정부 개혁 1호 타깃'으로 떠오른 검찰개혁이 급물살을 탈것으로 보인다.
박태근 동아닷컴 기자 ptk@donga.com
[☞오늘의 동아일보][☞동아닷컴 Top기사] |
"아직도 당신만 모르나 VODA" |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낙연, 알고보니 盧 탄핵소추안 반대표 던진 2명 중 1명
- '청와대 대변인' 거명 유정아는 누구? 문캠 수석부본부장..노무현 추도식 진행
- 정미홍 "문재인 대통령, 이번엔 어떻게 말아 먹을지 걱정"
- '文 정부 국방부장관' 하마평 무성한 송영무·황기철·백군기·박종헌, 누구?
- 박영선, 조국 민정수석 내정설에 "임명 자체가 '개혁의 상징'"
- 송영길 "안철수 정계은퇴 발언 사과" 박지원 "선거 끝났으니 서로 잘하자"
- 김홍걸, 조국 교수 민정수석 내정설에.."오늘만큼 기쁜 적 없었다"
- [속보]청와대 민정수석에 조국 교수..홍보수석에 윤영찬·인사수석에 조현옥
- 박영선 "임종석 비서실장 맞는 것 같다..입각? 난 능력 없다고 생각"
- "이게, 양다리여?"..최자, 설리와 결별 후 의미심장한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