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리틀 문재인' 조국 교수, 文 대통령과 평행이론?

[헤럴드경제=이슈섹션] 권력기관인 검찰을 컨트롤하는 청와대 민정수석에 임명된 ‘강남좌파’ 조국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와 문재인 대통령의 평행이론이 화제가 되고 있다.

‘리틀 문재인’으로 불러도 손색없다는 평가마저 나온다.

문재인 대통령은 11일 초대 청와대 민정수석에 비검찰 출신의 개혁 소장파 법학자인 조국(52)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를 임명했다.

지난 2011년 문재인 대통령의 1인 시위 장면과 조국 청와대 민정수석이 11일 청와대 춘추관 대브리핑실에서 임명 발표 후 취재진 질문에 답변하는 장면. [사진제공=연합뉴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은 이날 오전 춘추관에서 브리핑을 갖고 이런 내용의 비서실 인선 내용을 발표했다.  

조국 교수의 민정수석 기용은 검찰 개혁에 대한 국민의 간절한 여망을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조 신임 민정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민정수석은 수사지휘를 해서는 안 된다”는 소신을 밝혔다.

또 그는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 설치 문제와 관련해 "문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하고 소신이기도 하다"며 고위공직자비리수사처를 만드는 것이 검찰을 죽이는 게 아니라 진정으로 살리는 것이라고 믿는다. 검찰과 충돌하는 방식이 아니라 검찰도 살고 고위공직자 부패도 방지하는 것으로써 청와대와 국회가 모두 합의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문재인 대통령과 조국 교수는 닮은 점이 많다.

비검찰 출신으로 청와대 민정수석에 임명된 것도 그렇고, 정치인이 되는 것을 꺼려 했지만 결국 정치에 참여하게 되는 것 또한 비슷한 면이다.

자신을 정치에 참여시킨 장본인에 대한 열렬한 지지자였다는 점도 두 사람의 공통점이다. 또 둘 다 부산에서 출생했고, 법학을 전공했다.

조국 교수는 교수 신분으로 소셜미디어를 통해 문재인 대통령에 대한 공개 지지의사를 밝히는 등 사실상의 정치 활동을 해왔지만, 정치인이 되는 것에는 손사래를 쳐왔다.

문재인 대통령은 1988년 김영삼 전 대통령으로부터 노무현, 김광일 변호사와 함께 국회의원 영입 제안을 받았지만 문재인은 유일하게 거절했다.

또한 이후에도 꾸준히 정치권으로부터 러브콜을 받았지만 한사코 거절했다. 그러나 ‘민정수석으로 끝낸다’, ‘정치하라고 하지 말라’는 2가지 조건으로 노무현 참여정부의 청와대에 입성했다.

그런데 문재인 대통령은 노무현 전 대통령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그는 “사법시험 합격과 노무현 대통령 당선이 인생에서 가장 기뻤던 일”이라고 말한 바 있다.

조국 교수는 문 대통령의 열렬한 지지자였다.

지난 2011년 문 대통령이 정계에 입문할 때 “부산에서 함께 출마하자”는 러브콜을 받은 조 교수는 지난 2012년 문재인 대통령 지지선언을 했다.

지난 2015년 문 대통령이 새정치민주연합 대표일 때는 4.29 재보선 참패에 따른 당 내홍을 수습하기 위해 만든 당 혁신위원회 혁신위원으로 활동했다.

조 교수가 민주당에 공식적으로 참여한 건 이때가 처음이다.

조 교수는 이번 대선에서 재외국민을 대상으로 한 TV 찬조연설에도 나왔고, 지난 6일 사전투표율 25% 달성을 기념해 진행된 문 대통령의 프리허그 행사에서는 사회를 맡았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