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4차 산업혁명 특별시’ 등 文 당선인 대전·충남 공약 ‘탄력’ 기대

(대전·충남=뉴스1) 박종명 기자, 박현석 기자 | 2017-05-10 06:00 송고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3월 22일 대전시의회에서 충청권 지역발전 공약을 발표하기에 앞서 인사를 하고 있다. © News1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3월 22일 대전시의회에서 충청권 지역발전 공약을 발표하기에 앞서 인사를 하고 있다. © News1

19대 대선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대통령으로 당선됨에 따라 문 당선인이 선거운동 기간 동안 내건 대전과 충남지역 주요 공약사업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 당선인은 선거 기간 중 “대전을 대한민국의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 육성하겠다”며 구체적 전략으로 스마트 융·복합 첨단 과학산업단지와 스마트시티 실증화 단지를 조성하겠다고 약속했다.
이밖에도 △공공어린이재활병원과 대전의료원 건립 △옛 충남도청 이전 부지의 문화예술복합단지와 창조산업단지 조성 △대전권 연계 외곽 순환도로 교통망 구축 △도시철도 2호선 트램 건설 조기 착공 지원 △대전교도소 이전 △월평동 화상경마장 도시 외곽 이전 △중부권 원자력의학원 설립 등의 공약을 내걸었다.

이 중 더불어민주당 대전선대위 박범계 상임선대위원장은 지난달 20일 대전시당에서 가진 대전지역 공약 발표 자리에서 "문 후보의 153만 대전 시민에 대한 공약 중 가장 강조하고 싶은 것은 4차 산업혁명 특별시로 대전을 육성하겠다는 것"이라고 꼽고, 원광연 전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장을 위원장으로 한 4차 산업혁명 특별시 추진위원회를 발족한 상태다. 

이에 따라 대덕특구 정부출연연구소의 타 지역 분원이 가속화 하는 상황에서 대한민국의 새로운 먹거리를 창출할 4차 산업혁명 특별시에 대한 문 당선인의 의지에 따라 대덕특구의 위상을 다시 공고히 할 수 있는 계기가 마련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다.
시가 도시철도 2호선으로 추진하고 있는 트램 건설도 현재 국토교통부와 협의 중에 있는 '도시철도 2호선 기본계획 변경(안)'의 승인은 물론 관련 예산의 지원도 활기를 띌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권선택 대전시장은 지난 8일 가진 시정 점검회의에서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것이 미래 먹거리를 확보하는 중요한 요소인 만큼 여러 지자체가 너도나도 뛰어들고 있는 상황”이라며 “4차 산업혁명은 대전만이 주도 할 수 있다는 분위기를 만들고 주도권을 선점해야 한다”고 선제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시 관계자는 “대전은 대덕특구, 카이스트, 첨단 벤처기업 등을 갖추고 있어 인프라 면에서 4차 산업혁명 육성에 대전만한 곳은 없다”며 “앞으로 더 구체화한 안을 마련해 새 정부의 국정 과제에 반영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중앙부처는 대통령 공약에 대해 부담을 갖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트램 건설이나 대전의료원 건립 등의 사업도 더 많은 관심 속에 사업 추진이 탄력을 받게 될 것으로 보인다”고 기대감을 표시했다.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4월 7일 충남 홍성군 내포 첨단 산업단지 조성현장을 방문해 공사 현황을 청취하고 있다. © News1
문재인 대통령 당선인이 지난 4월 7일 충남 홍성군 내포 첨단 산업단지 조성현장을 방문해 공사 현황을 청취하고 있다. © News1

충남도도 이번 대선에 제안한 12개의 도 발전과제 사업 중 내포혁신도시 지정 및 공공기관 이전에 힘이 실릴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2013년 조성된 내포신도시는 충남도청을 비롯해 도교육청, 도경찰청이 들어섰지만 아직까지 종합병원이나 대학이 유치되지 않으면서 정주 여건이 부족한 상황이다. 

문 후보는 경선이 끝난 직후인 지난달 7일 충남도청을 찾은 자리에서 “내포신도시가 충남을 살리는 희망인데 충남 자체의 공공기관으로는 조성에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중앙 공공기관을 추가 이전하는 새 혁신도시가 되면 좋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밖에도 충남도가 대선공약으로 내세운 도 발전과제인 △논산·계룡 국방산업단지 조성 △KTX공주역 활성화 사업 조기 추진 △동아시아 그린바이오클러스터 조성 12개 사업에 힘이 실릴 전망이다.

또 도가 국가 발전과제로 발굴한 △화력발전 미세먼지 감축 △공정하고 합리적인 전력수급체계 구축 △화력발전 미세먼지 감축 △공정하고 합리적인 전력수급체계 구축 등 5개분야 22개 사업 역시 추진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충남도 관계자는 “도가 내부적으로 안고 있는 지역·산업 간 균형발전의 과제를 국가정책화로 해소하고, 환황해권 중심지로서의 성장 잠재력을 발산할 수 있도록 차기 정부와 협치를 강화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kt0319@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