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역대 대통령 취임식을 보면 당시 대통령 면면을 엿볼 수 있다. 우리 헌정사 약 70년에서 대통령 11명의 취임식이 18차례 치러졌다. 이승만 전 대통령은 1948년 7월24일 중앙청(옛 조선총독부) 광장에서 대한민국 첫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대통령 선서 때 헌법에 적힌 ‘나는∼’으로 시작하지 않고 ‘나 이승만∼’은 이라고 해 위헌 시비를 낳기도 했다. 지금은 황당할 수 있는 ‘대통령 찬가’도 불렸다고 한다.

1980년 잠실체육관에서 열린 11대 전두환 전 대통령 취임식엔 무대 배경, 연설대, 테이블 등 곳곳이 금색 봉황 휘장으로 꾸며졌다. 무대 상단에 ‘제11대 전두환 대통령 각하 취임’이란 글씨가 이목을 끌었다. 역대 대통령 가운데 가장 권위적인 취임식이었다는 평가다. 취임식 도중 최규하 전 대통령 부인 홍기 여사가 눈물을 훔치고, 남편이 넘겨준 책자 봉투를 뿌리치는 장면이 카메라에 포착돼 무수한 뒷말을 남겼다.

‘보통사람’을 내세운 노태우 전 대통령은 취임식 때부터 탈권위적인 행보를 보였다. 대통령과 영부인에게 수여되는 최고 훈장인 무궁화대훈장을 목에 걸거나 어깨에 두르는 모습이 사라졌다. 직선 대통령인 만큼 장소도 체육관을 벗어나 국회의사당 앞 광장으로 옮겨졌다. 그는 대통령 가운데 처음으로 자신을 ‘저’로 칭했다. 전 전 대통령의 ‘본인∼’과 대비된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취임식 때 도로변에 시민을 동원하는 관행을 없앴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일반국민 2만여명을 취임식장에 초청했다. ‘국민을 섬기는 정부’를 내세운 이명박 전 대통령은 관례상 단상에 앉던 장관 후보자, 청와대 수석 내정자를 아예 무대 아래에 앉게 했다.

오늘 탄생한 19대 대통령의 취임식이 관심사다. 취임식은 새 정부의 국정철학 등을 대내외에 알리는 중요한 행사다. 그러나 당선일이 취임일이 되는 ‘장미대선’으로 이번 대통령 취임식은 대폭 간소해질 전망이다. 취임식은 규모가 중요한 게 아니다. 선거로 갈린 국민을 통합과 화합의 길로 이끌 치유의 메시지를 담는 게 우선이다. 장미 꽃말은 ‘사랑’이다. 편가름 없이 사랑으로 포용하는 새 대통령을 기대한다.

박태해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르테미스 희진 '금발 여신'
  • 아르테미스 희진 '금발 여신'
  • 한소희 '시선 사로잡는 타투'
  • 송지우 '깜찍한 꽃받침'
  • 표예진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