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카카오, 하드웨어 시장 진출한다
[경향신문] ㆍ인공지능 탑재 스피커 연내 출시
네이버와 카카오가 자사의 인공지능(AI)을 탑재한 스피커를 출시하며 하드웨어 시장에 진출한다. 그간 인터넷 서비스와 소프트웨어를 내세웠던 두 회사 모두에 올해가 구글·아마존처럼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를 아우르는 종합 정보기술(IT) 기업으로 도약하는 원년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9일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일본 자회사 라인과 함께 인공지능 기반 스피커인 ‘웨이브’를 올여름 발매할 예정이다. 네이버의 인공지능 ‘클로바’가 탑재된 전용 하드웨어로 현재 라인 브랜드 아래 일본 출시가 확정됐으며 한국에서는 네이버 상표 아래 발매 방침이 검토되고 있다. 네이버와 라인이 공동 개발하고, 스피커 기기 제작만 협력사가 맡을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도 올해 안에 인공지능 스피커를 발매한다. 카카오의 미래 전략인 ‘AI 플랫폼’(서비스 공간)을 본격적으로 구현한 제품으로 음원, 동영상, 뉴스 추천, 음성 검색 등 카카오의 핵심 서비스를 집약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네이버는 또 다른 미래 먹거리 사업인 차량용 정보 서비스 ‘IVI(In-Vehicle Infotainment)’를 위해서도 하드웨어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네이버 IVI는 태블릿PC처럼 생긴 기기를 차량 계기판 상단에 붙여 쓰는 시스템이다. 운전자가 말만 하면 인공지능이 바로 내비게이션, 날씨, 일정, 음악, TV 등의 기능을 구동하는 것이 특징이다. 네이버 IVI는 현재 양산을 준비하고 있으며, 올해 7월께 차량 공유 업체 ‘그린카’의 차에 IVI를 탑재할 계획이다.
네이버와 카카오의 이 같은 도전은 인공지능과 클라우드 등의 발전으로 막대한 데이터를 이용한 플랫폼 사업이 발달하면서 자신들이 보유한 국내의 막대한 데이터를 활용해 종합 IT 기업으로 성장할 기회를 엿보는 것으로 풀이된다. 세계 최대 검색엔진인 구글이 현재 스마트폰, 인공지능 스피커, 가상현실 기기 등을 판매 중이고, 온라인 상거래 사이트에서 출발한 아마존닷컴도 인공지능 스피커 에코를 바탕으로 입지를 다졌다. 국내 IT 업계 관계자는 “특히 인공지능 같은 새 서비스에서 자사의 비전을 하드웨어 차원에서도 온전히 보여주고 싶다는 의지가 큰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윤주 기자 runyj@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빨간불 뜨면 해고, 마치 ‘오징어 게임’ 같았다”…만우절 농담 같았던 ‘마지막 출근’
- 전한길·전광훈 선 못 그으면서···‘김어준 지령설’ 펴는 국민의힘
- “윤석열 석방 화나서 감옥살이 못하겠다” ‘돈봉투 무죄’ 송영길 항소심 시작
- 한국 관세 25% 아닌 26%?···행정명령 부속서엔 1% 높게 적시
- 윤석열 선고 전 야권에 기운 민심 확인···4·2 재보선 압승으로 나타났다
- 트럼프 “적보다 우방이 더 나빠···한국 자동차 81%는 한국서 생산”
- [인터뷰]‘탄핵 찬성’ 김상욱 “닭 목 비틀어도 새벽은 와…내 역사적 소명은 파면”
- 국힘 김미애, 장제원 겨냥 “누구든 돈과 권력으로 범죄 저질러선 안돼”
- DOGE까지 문 닫나…미 매체 “머스크, 곧 그만둘 것” 테슬라 복귀 시사
- “예방진화대원 사망, 예견된 일…일 터지면 그때만 반짝, 이번엔 다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