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당 친박·비박 또 싸우나..洪 "친박은 없다" 진화 시도

2017. 5. 2. 16:2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자유한국당의 고질적 계파 갈등이 바른정당 의원들의 '원대 복귀' 움직임으로 또다시 불거질 조짐이다.

옛 새누리당에서 '친박(친박근혜) 패권주의'를 이유로 탈당해 바른정당을 만들었던 비박(비박근혜) 의원 13명은 2일 바른정당을 다시 떠났다.

친박의 구심점이던 박 전 대통령이 이미 '정치적 사망선고'를 받은 데다, 비박의 '양대 주주'이던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와 김무성 의원도 여전히 바른정당에 몸담고 있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친박 의원들 바른정당 탈당파 비난..탈당파 "보수 대동단결 먼저"
'탄핵 책임론'에 당권·공천 충돌 조짐..계파 구심점 없어 '미풍' 관측도

(서울=연합뉴스) 홍정규 기자 = 자유한국당의 고질적 계파 갈등이 바른정당 의원들의 '원대 복귀' 움직임으로 또다시 불거질 조짐이다.

옛 새누리당에서 '친박(친박근혜) 패권주의'를 이유로 탈당해 바른정당을 만들었던 비박(비박근혜) 의원 13명은 2일 바른정당을 다시 떠났다.

이들은 아직 한국당 복당을 신청하지 않았고, 한국당은 복당 신청이 들어와도 대선 이후 당헌·당규에 따라 처리하겠다는 원론적 입장만 밝힌 상태다.

그럼에도 한국당 홍준표 대선후보 지지를 선언한 바른정당 탈당 의원들의 복당은 사실상 정해진 수순으로 여겨진다.

친박 의원들은 이날 개별적으로 바른정당 탈당 의원들에 비판적인 견해를 보였다.

친박 '맏형'인 서청원 의원은 "벼룩에도 낯짝이 있다"는 속담으로 비꼬았다. 유기준 의원은 "한국당이 온갖 수모를 겪고 좌파 세력으로부터 돌팔매질을 당할 때 그들 편에 섰던 사람들"이라고 지적했다.

탈당 의원들은 "보수 대통합을 요구하는 국민의 염원을 외면할 수 없다"며 '좌파 집권'을 저지하기 위해 홍 후보를 지지한다는 입장이다.

(서울=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바른정당 비유승민계 의원 들이 2일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집단 탈당, 자유한국당(옛 새누리당)으로의 복당과 한국당 홍준표 후보 지지를 선언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2017.5.2

그러나 친박 윤상현 의원은 "보수 대통합은 야밤이 아닌 백주에 홍준표·유승민·조원진 후보가 직접 보수후보 3자 단일화를 이뤄내는 것"이라고 반박했다.

반면 한국당 내 비박으로 분류되는 심재철 의원은 "좌파 세력에게 자유 대한민국의 운명을 맡겨서는 안 된다는 민심의 준엄한 명령"을 들어 복당 허가를 요구했다.

바른정당 탈당 의원들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이 같은 논란의 표면적 이유는 '명분과 현실'의 대립으로 요약된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에 찬성했던 바른정당 의원들이 돌아오는 건 정치적 도의에 맞지 않는다는 논리와 어떻게든 힘을 합쳐 불리한 선거판을 뒤집어야 한다는 현실론이 맞서고 있다.

또 이들이 복당해도 선거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분석과 홍 후보가 보수 대표주자로서 가질 상징성을 강조하는 반론이 팽팽하다.

"선거에는 지겟작대기도 필요하다"며 친박을 끌어안았던 홍 후보는 바른정당을 나온 비박도 받아들이겠다는 입장이다.

특히 대선후보 경선에서 "이제 친박은 없다"며 계파 해체를 선언했던 만큼, 한국당이 '친박 대 비박'의 대립 구도에 언제까지 갇혀 있을 수 없다는 게 홍 후보의 생각이다.

(서울=연합뉴스) 배재만 기자 = 자유한국당 홍준표 대선후보가 2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 본청 앞 계단에서 열린 "홍준표를 찍으면 자유대한민국을 지킵니다"-대한민국 안보단체 총연합 합동 지지 선언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2017.5.2

문제는 지난해 말 비박 의원들의 탈당 때도 그랬듯, 이들의 한국당 복당을 두고 벌어지는 갈등의 이면에는 차기 당권과 지방선거 및 총선의 공천이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이다.

대선에서 패배할 경우 한국당 리더십은 다시 '진공 상태'에 놓이고, 올해 여름으로 예상되는 전당대회에서 차기 당권 경쟁이 불가피하다.

차기 당 대표는 내년 지방선거 공천권을 행사한다. 총선 공천의 디딤돌인 지역구 조직의 향배가 좌우되는 것이다. 인명진 전 비상대책위원장 시절 임명된 약 60명의 당협위원장, 특히 비례대표 의원이 맡은 당협위원장은 복당 의원들과의 경쟁이 불가피해진다.

친박 패권주의가 박근혜 정권의 실패로 이어졌다는 비박의 비판, 비박의 배신이 탄핵과 조기대선의 원인이라는 친박의 비판도 각자의 정당성을 고집할 수밖에 없는 지점이다.

다만 박 전 대통령의 재임 시절처럼 친박·비박 갈등의 파열음이 그다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친박의 구심점이던 박 전 대통령이 이미 '정치적 사망선고'를 받은 데다, 비박의 '양대 주주'이던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와 김무성 의원도 여전히 바른정당에 몸담고 있기 때문이다.

(부산=연합뉴스) 손형주 기자 = 바른정당 유승민 대선후보가 29일 오후 부산 서면 유세에서 김무성 공동선대위원장과 함께 손을 맞잡고 있다. 2017.4.29

zheng@yna.co.kr

☞ 이동건-조윤희 혼인신고…"결혼식 준비 중 2세 소식도"
☞ 전 남친 만나러 2살배기 딸 놔두고 외출…아이 사망
☞ 집 나간 지적장애 아내 1㎞ 떨어진 곳에서 찾고보니…
☞ "김정은은 국가원수" 체면 살려준 美…北 어떤 반응할까
☞ 또 시끄러운 항공사…싸움 말리던 조종사가 승객 때려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