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청원 “바른정당 탈당파 복귀? 벼룩에도 낯짝이 있다”

  • 동아닷컴
  • 입력 2017년 5월 2일 15시 36분


코멘트
사진=동아일보DB
사진=동아일보DB
친박(친박근혜)계 맏형인 서청원 자유한국당 의원은 2일 바른정당을 탈당해 한국당으로 복귀하겠다고 밝힌 의원 13명을 향해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이라면 정치철학은 고사하더라도 최소한의 정치도의는 지켜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맹비난했다.

서 의원은 이날 입장문을 통해 “‘벼룩에도 낯짝이 있다’라는 속담이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서 의원은 “위기일수록 원칙과 명분을 지키고, 오로지 국민과의 신뢰를 중히 여겨야 한다”며 바른정당 탈당파들을 향해 “과정이 생략됐다. 명분도 설득력이 없다. 국민도, 당원들도 납득하기 힘들다”고 비판했다.

그는 “바른정당의 ‘새로운 보수’ 명분은 지지를 받지 못했다”며 “‘4월 질서있는 퇴진, 6월 대선’이라는 당론을 깨고 당소속 대통령을 탄핵하고 교도소에 보냈다. 그것도 모자라 대선을 앞두고 당을 깨고 나갔다”고 지적했다.

이어 “당원과 보수지지자들의 자존심에 심각한 상처를 입히고 어떤 사과도 없었다. 이제 세가 불리하다고 판단했는지 자신들이 추대한 후보를 버리고 다시 우리당으로 돌아오겠다고 한다”며 “일부 의원들 개개인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이합집산을 하는 모습을 국민은 인정할 수 없다. 보수정치에 대한 인식은 더욱 악화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 의원은 “홍준표 후보를 지지했던 자유한국당 지지자들과 바른정당을 지지했던 국민 모두 어리둥절한 일”이라며 “바른정당은 자신들의 후보를 설득해서 명분을 가지고 절차를 거쳐 복당을 하는 수순을 밟아야 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자유한국당 당원들의 의사도 존중되어야 한다. 복당을 희망한 의원 중 옥석도 가려야 한다”며 “그래야 국민과 지지자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 또 ‘통합’의 의미를 손상치 않고 보수회복을 추구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다음은 ‘바른정당 일부의원들의 복당에 대한 서청원의 입장’ 전문▼

요즘 ‘정치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자주 하게 된다.

‘정치는 어려운 때도 상식에 근거해야 한다. 정치인의 처신은 신뢰를 바탕으로 해야 하고, 언제나 정정당당해야 한다. 위기일수록 원칙과 명분을 지켜야 한다. 국민만을 보아야 한다.’ 답은 항상 그랬다.

보수의 위기, 보수정당의 위기다.

이럴 때일수록 원칙과 명분을 지키고, 오로지 국민과의 신뢰를 중히 여겨야 한다. 당장은 어려울 수 있지만, 결과적으로 위기를 극복하는 유일한 길이고 사는 길이다.

바른정당의원 13명이 자신들이 만든 당에서 탈당해 우리당 홍준표 후보를 지지하겠다고 한다. 이들의 입당을 논하기 앞서 국민과 당원들을 납득시킬 수 있느냐가 중요하다. 그래야 대선에도 도움이 되고, 정통보수당의 부활에도 기여할 수 있다.

지금은 과정이 생략됐다. 명분도 설득력이 없다. 국민도, 당원들도 납득하기 힘들다. 그동안 홍준표 후보는 탄핵이 잘못됐다고 주장하며 보수의 지지를 다시 규합했다. 성과도 상당히 있었다. 다시 한 번 보수지지층이 실망을 거두고 지지를 보내주기 시작했다.

바른정당의 ‘새로운 보수’ 명분은 지지를 받지 못했다. “4월 질서있는 퇴진, 6월 대선”이라는 당론을 깨고 당소속 대통령을 탄핵하고 교도소에 보냈다. 그것도 모자라 대선을 앞두고 당을 깨고 나갔다. 당원과 보수지지자들의 자존심에 심각한 상처를 입히고 어떤 사과도 없었다. 이제 세가 불리하다고 판단했는지 자신들이 추대한 후보를 버리고 다시 우리당으로 돌아오겠다고 한다.

일부 의원들 개개인의 정치적 이익을 위해 이합집산을 하는 모습을 국민은 인정할 수 없다. 보수정치에 대한 인식은 더욱 악화될 것이다. ‘벼룩에도 낮짝이 있다’는 속담이 있다.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의원이라면 정치철학은 고사하더라도 최소한의 정치도의는 지켜야 하는 것 아닌가?

홍후보를 지지했던 자유한국당 지지자들과 바른정당을 지지했던 국민 모두 어리둥절한 일이다. 바른정당은 자신들의 후보를 설득해서 명분을 가지고 절차를 거쳐 복당을 하는 수순을 밟아야 했다. 자유한국당 당원들의 의사도 존중되어야 한다. 복당을 희망한 의원 중 옥석도 가려야 한다. 그래야 국민과 지지자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다. 또 ‘통합’의 의미를 손상치 않고 보수회복을 추구할 수 있다.

다시 한 번 말하지만, 위기일수록 ‘원칙과 명분, 그리고 국민’만을 쫒아야 한다.

2017.05.02. 서청원

최정아 동아닷컴 기자 cja0917@donga.com
  • 좋아요
    0
  • 슬퍼요
    0
  • 화나요
    0
  • 추천해요

댓글 0

지금 뜨는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