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0년 동안 중력 무시한 인도의 거대 바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설악산 흔들바위처럼 굴러 떨어질 듯 떨어지지 않는 바위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남인도 지역 첸나이 마하발리푸람의 관광 명소가 된 바위 '크리슈나의 버터볼'이다.
1498년 바스코 다 가마의 인도 발견 이후 1640년 첸나이(영국령 '마드라스')에 동인도회사를 설립, 영국 지배하에 놓였을 때 마드라스 주지사가 바위를 끌어내리려고 했다.
이 바위가 인도인들에게 신성시됐기 때문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
남인도 첸나이의 명물 '크리슈나의 버터볼'이 주목 받고 있다./유튜브 채널 '옴니버스' 영상 갈무리 |
설악산 흔들바위처럼 굴러 떨어질 듯 떨어지지 않는 바위가 관심을 모으고 있다.
지난달 29일 유튜브에 '1300년간 중력을 무시한 250톤의 바위'라는 제목으로 동영상이 올라왔다. 남인도 지역 첸나이 마하발리푸람의 관광 명소가 된 바위 '크리슈나의 버터볼'이다. 사진을 보면 돌이 놓인 경사도 만만찮다.
'크리슈나의 버터볼'을 제거하려는 노력은 오래 전부터 있었다. 1498년 바스코 다 가마의 인도 발견 이후 1640년 첸나이(영국령 '마드라스')에 동인도회사를 설립, 영국 지배하에 놓였을 때 마드라스 주지사가 바위를 끌어내리려고 했다. 이 바위가 인도인들에게 신성시됐기 때문이다. 이때 주지사는 코끼리 일곱 마리를 동원했지만 실패했다고 알려져 있다.
바위를 제거하려는 노력이 모두 실패로 돌아가자 '크리슈나의 버터볼'을 신격화하는 분위기는 더욱 높아졌다. 일부 인도인들은 신이 이 바위를 놓았다고 믿을 정도다. 지질학자 등 전문가들은 자연형성으로 보고 있다.
바위는 현재 1984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된 '마하발리푸람 기념물군', 교황청이 공인한 카톨릭 성지인 '첸나이 성 도마 성당'과 함께 첸나이의 주요 관광 상품이 됐다.
ocmcho@fnnews.com 조재형 기자
※ 저작권자 ⓒ 파이낸셜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노팬티 절친, 부엌서 내 남편과 스릴을.."문틈으로 다봤다" 충격 [헤어질 결심]
- "김연아·차인표가 죽었다고?"..살아있는 연예인 사망 뉴스 채널 '경악'
- "목욕탕도 안 간다" 심진화, '성추행 트라우마'로 호흡곤란까지
- 김대식 "尹 메시지, 적절치 않아…선거에 도움 안돼"
- 노래방서 여성 살해하고 야산에 유기한 종업원…무기징역 구형
- '재혼' 이상민 "아내, 10살 연하 초혼…3개월 연애" [RE:TV]
- '이윤지 남편' 정한울, 이혼 루머 해명…"걱정하는 분 많아"
- 김정렬 "서세원 장례식서 숭구리당당…천국 가는 길 터줘"
- 카메라 찾다 실종된 女…심해 87m서 숨진 채 발견
- 반려견 찾으러 수락산 올라갔던 80대 숨진 채 발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