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도 쇠퇴 현상..경기 읍면동 38% '쇠퇴지역'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경기도 시군 읍면동 3곳 중 1곳은 인구와 산업체가 줄고 건물이 노후화하는 등 갈수록 쇠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경기연구원이 2015년 12월 국토교통부의 전국 쇠퇴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도내 549개 읍면동 중 62.7%인 344곳이 최근 30년간 인구가 20% 이상 감소하거나 최근 5년간 3회 연속 인구가 감소한 '인구 감소 지역'으로 조사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수원=연합뉴스) 김광호 기자 = 경기도 시군 읍면동 3곳 중 1곳은 인구와 산업체가 줄고 건물이 노후화하는 등 갈수록 쇠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8일 경기연구원이 2015년 12월 국토교통부의 전국 쇠퇴도 자료를 분석한 결과를 보면 도내 549개 읍면동 중 62.7%인 344곳이 최근 30년간 인구가 20% 이상 감소하거나 최근 5년간 3회 연속 인구가 감소한 '인구 감소 지역'으로 조사됐다.
또 37.2%인 204개 읍면동은 전체 건축물 중 노후건축물(준공된 지 20년 이상 지난 건축물) 비율이 50% 이상인 '노후건축물 지역'으로 분류됐다.
22.8%인 125곳은 최근 10년간 5% 이상 사업체가 감소하거나 최근 5년간 3회 연속 사업체가 감소한 '사업체 감소 지역'이었다.
이 3개 지표 중 2개 지표 이상에 해당하는 읍면동이 '쇠퇴지역'으로 분류되는데, 도내에 모두 212개 읍면동이 이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읍면동의 38.6%에 달하는 것이며 이 지역에 당시 기준 도민 1천252만여명의 28.9%인 362만명이 거주하는 것으로 추산됐다.
68개 읍면동은 3개 지표에 모두 포함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도내 쇠퇴지역 비율은 전국 평균 64.6%, 서울시 78.7%보다는 훨씬 낮은 것이다.
시군별 쇠퇴지역은 성남시가 15곳으로 가장 많고, 다음이 부천시 11곳, 수원시 9곳, 안양시 7곳 등 주로 남부지역에 많았다.
도내 쇠퇴지역은 2013년 185개 읍면동에서 2014년 195개 읍면동으로 확대되는 등 점차 늘어나고 있다.
매년 평균 6.6%씩 쇠퇴지역이 늘어나는 것이며, 이같은 증가 폭은 앞으로 더 커질 것으로 경기연구원은 내다봤다.
경기연구원은 도내 쇠퇴지역 상당수가 예전 인구 및 경제활동이 활발하던 구도심 지역으로, 이들 지역에 그동안 많은 인구가 밀집해 살면서 비싼 땅값 등으로 재개발 사업이 어려워지고, 생활환경이 악화한 상황에서 외곽 지역이 점차 개발돼 쇠퇴가 빨라지는 등 악순환 하는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원은 낮은 도내 쇠퇴지역 비율로 일부에서는 도시재생 사업 추진 필요성이 있느냐는 목소리도 있지만, 다른 지역의 과밀 억제와 환경오염 및 범죄예방 등을 통한 주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도시재생이 필요할 수도 있다고 주장했다.
kwang@yna.co.kr
- ☞ [서러운연휴] 공기업·대기업의 축제…中企·자영업 '빨간날'에도 근무
- ☞ 초등 4~6년 여아 45% '화장경험'
- ☞ '트럼프 청구서' 또 오나?…방위비 분담금 등 압박 가능성
- ☞ 대기업 CEO 연봉, 일반직원의 최고 63배…삼성전자가 격차 최대
- ☞ 정유라 "한국가면 아들 뺏길까 두렵다…스캔들 아무것도 몰라"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