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76.5% "4차 산업혁명, 내 일자리 위협".. 생산직 근로자·은행원·사무직順 타격 전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 국민 4명 중 3명은 '4차 산업혁명이 자신의 일자리를 위협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4차 산업혁명으로 '제조업 근로자'의 일자리가 가장 많이 없어질 것으로 예상한 반면, 일자리 위협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업으로는 '연예인'을 꼽았다.
27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공개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민인식' 자료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이 내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는 응답은 76.5%로 "그렇지 않다"(23.5%)의 3배를 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 국민 4명 중 3명은 '4차 산업혁명이 자신의 일자리를 위협한다'는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4차 산업혁명으로 '제조업 근로자'의 일자리가 가장 많이 없어질 것으로 예상한 반면, 일자리 위협 가능성이 가장 낮은 직업으로는 '연예인'을 꼽았다.
27일 한국언론진흥재단이 공개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국민인식' 자료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이 내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는 응답은 76.5%로 "그렇지 않다"(23.5%)의 3배를 넘었다. 이는 언론진흥재단이 지난 18~21일 20~50대 남녀 1041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한 결과다. 지난해 3월 조사(52.2%) 때보다 위협을 느낀다는 응답이 대폭 늘어났다. 하지만 응답자들은 "4차 산업혁명이 경제 신성장 동력이 될 것"(82.4%), "인류에게 혜택을 줄 것"(82.6%)이라며 기대감을 보이기도 했다.
18개 직업군을 제시하면서 '4차 산업혁명으로 어느 일자리가 축소될까'라고 질문했을 땐 제조업 생산직 근로자(63.7%), 은행원(41.2%), 사무직(29%), 판매 사원(25.4%), 택배 기사(22.9%), 농부(20.7%), 택시 기사(17.1%) 등 순으로 답(복수 응답)이 나왔다. 반면 연예인(0.8%), 작가(1.6%)를 택한 응답자는 상대적으로 적었다. 언론진흥재단 관계자는 "단순노동 형태의 직종이 위협을 많이 받는다고 본 반면, 창의성이 요구되는 직군의 위험도는 낮다고 본 것"이라고 말했다. 응답자들은 또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필요한 교육 영역으로 창의력 교육(31.3%)을 가장 많이 꼽았다. 이어 컴퓨터공학(26.1%), 공학(18.2%), 인문학(11.0%) 등이 뒤를 이었다.
- Copyrights ⓒ 조선비즈 &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비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라免, 결국 인천공항 면세 사업권 반납… 신세계免도 철수하나
- “중국에 기회 있다”는 현대차… 첫 전용 전기차 앞세워 부활 시동
- 美 보건부, 장기 이식 단체 첫 계약 해지… 안전 문제 도마 위에
- 삼성전자, IBM 차세대 ‘파워칩’ 파운드리 계약… 성숙 공정서 잇단 성과
- [인터뷰] 하준경 “부채 무서워 전쟁에 돈 아끼면 나라 없어져”
- 현대제철이 그룹 지배구조 개편 핵심주?… 외국인은 40일 연속 순매수
- ‘노 재팬’ 넘어 ‘헤이트 재팬’… 中, 항일 영화 ‘731’ 흥행 속 反日 감정 극대화
- 입속 세균, 장 거쳐 뇌까지 영향…파킨슨병 경로 새로 밝혔다
- [단독] ‘경복궁 낙서’ 실행범 고교생, 장기 2년·단기 1년 6개월 확정… 교사범 성인은 2심 징역
- KB證 “현대로템, 중동 전차 공급 계약 추가로 나올 듯… 목표 주가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