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시계
실시간 뉴스
  • 나경원 “코리아패싱 모르는 문재인, 안보 생각은 하나”
[헤럴드경제=이슈섹션] 나경원 자유한국당 의원이 ‘코리아 패싱’을 언급하면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비난했다.

나 의원은 26일 페이스북을 통해 “단순히 용어 인지 여부를 넘어, 지금 대한민국이 ‘안보 위기’인지 제대로 알지 못하는데 대한 우려가 크다”고 밝혔다.

이어 “어제 네 번째 TV토론. ‘코리아 패싱’이 무엇인지 모르겠다고 답한 문재인 후보의 발언에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며 전했다. 또 “콩글리시니 뭐니를 떠나서, 최근 하루가 멀다 하고 외교안보 문제가 이슈의 중심에 있어온데다 언론에서도 계속 써오던 용어라 모른다는 답변에 놀란 것이 사실”이라고 덧붙였다. 


‘코리아 패싱’은 전날 방영된 TV토론에서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가 ‘안보 위기’를 언급하면서 문 후보에게 한 질문이다. 이날 방송에서 문 후보는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고 답했다. 이에 유 후보는 “오늘(지난 25일)이 북한 인민군 창건일인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에게 전화 한통하지 않았다. 중국 관영신문에는 미국이 핵미사일을 선제타격 한다고 보도됐다”고 말하며 북한 문제에서 한반도가 제외된 상황을 설명했다.

나 의원은 이어 “진짜 우려는 ‘코리아 패싱’, 즉 북핵문제를 해결함에 있어서 정작 대한민국은 소외된 채 주변 강국 간의 이해관계에 따라 한반도 운명이 결정될 수 있다는 점이다”라며 “그래서 돈독한 한미관계가 중요하다. 그러나 북한인권 문제조차 북한에게 쪼르르 물어보는 정부와 그 누가 정보를 공유하고 속내를 나누겠는가”라고 지적했다.

‘코리아 패싱’이라는 말은 1998년 있었던 ‘재팬 패싱’(Japan passing)에서 비롯된 말이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빌 클린턴 당시 미국 대통령이 일본을 건너뛰고 곧장 중국만 방문하고 돌아간 상황이 ‘재팬 패싱’이라고 표현된 적이 있다.

하지만 각국 정부 차원에서도 ‘코리아 패싱’이라는 말은 사용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달 28일 조준혁 외교부 대변인은 정례브리핑을 통해 “최근 국내 일각에서 사용하는 ‘코리아 패싱’이라는 특이한 용어가 정확히 무슨 의미로 쓰이고 있는지 모르겠다”면서 “미국 등 국가에서 이 용어를 사용하는 것을 들어본 적이 없다”고 덧붙였다.

onlinenews@heraldcorp.com
맞춤 정보
    당신을 위한 추천 정보
      많이 본 정보
      오늘의 인기정보
        이슈 & 토픽
          비즈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