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종합]'인구소멸'로 전남 섬 39곳 50년내 무인도 된다

등록 2017.04.25 14:16:01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고흥=뉴시스】김석훈 기자 = 전남 고흥군은 전남도가 추진하고 있는 서·중부권 해안(섬) 우선 개발 후보지로 고흥군 과역면 진지도가 최종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2017.02.01. (사진=고흥군청 제공)  kim@newsis.com

해남 상·중·하마도 전국 유인도서 중 인구 증가 `유일' 전망

【무안=뉴시스】배상현 기자 = 전남 지역 섬 39곳이 인구 감소와 고령화 등으로 인해  50년 내 무인도가 될 것으로 전망됐다.

 전남 유인도 279곳 중 14% 섬마을이 사라지는 셈이다.

 25일 한국지방행정연구원의 '섬의 인구 변화 분석 및 발전 방안 연구' 보고서와 전남도에 따르면 전남지역 유인도 279곳 중 개발대상도서 14곳과 10인 미만 도서 25곳 등 39곳이 인구소멸로 인해 50년 이후 무인도화가 된다는 예상이다.  

 이는 2016년부터 2066년까지의 인구 추계 결과에 따른 것이다.

 전남 지역 개발대상 도서 216곳 중 인구 감소와 고령화가 동시에 이뤄지면서 14곳(6.5%)이 50년 후 추계인구가 전혀 없는 도서로 분류됐다.

 여수 (대)운두도·소횡간도·광도, 고흥 수락도, 영광 대각이도, 완도 원도·장도·예작도, 진도 각흘도·모도·윗대섬(상죽)·탄항도, 신안 상수치도·막금도 등이 대상에 올랐다.

 전국적으로는 개발 대상 도서 317곳 중 24곳(6.7%)이 50년 후 무인도가 된다.

 이와함께, 전남지역에서 10인 미만이 살고 있는 섬  32곳 중 25곳(78.1%)이 50년 내에 무인도로 변화할 것으로 예상됐다.  

 대다수 고령자 비율이 매우 높고 인구 감소율이 커 소멸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고흥 대옥대도·첨도, 무안 닭섬, 신안 외안도·요력도·율도, 여수 금죽도·수항도·야도·추도, 영광 대각시도·수각시도· 죽도·횡도, 완도 모황도· 양도·죽굴도·초완도, 진도 갈목도·소성남도· 송도·양덕도·주지도·죽도, 해남 시하도 등이 포함됐다.

 반면, 전남 해남군에 있는 상마도와 중마도, 하마도의 경우 전국 유인도서 중 유일하게 50년 후 인구가 증가하는 것으로 추계됐다.

 이들 도서는 2016년 대비 인구가 성장(2.9~28.7%)하고 65세 이상 인구 비율 역시 20% 수준으로 추계됐다. 특히 이들 도서는 비연륙 도서임을 감안하면 중요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전남 해남 지역 섬의 인구 증가는 해당 지역 합계출산율이 2.464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이며 출산이 가장 많은 30~34세 여성 1000명 당 출생아 수는 224.5로 전국 시·군·구 중에서 월등히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보고서는 "도서는 21세기 해양의 시대 국가안보 및 해양주권 수호의 측면에서 중요도가 증대되고 있다. 일본과 같이 도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현실적이고 적극적인 인구 감소 대응책 마련이 필요하다"면서 "10인 미만의 도서는 `무인화 방지' 도서로 인구 관리가 필요하고 개발 대상 도서는 장기적으로 육지로부터의 인구 유입이 될 수 있도록 인구 관리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지난해 6월 말 기준 전남은 전국의 섬 3358개의 65%인 2165개가 있다. 유인도는 279개, 무인도는 1886개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