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심이 색깔론에 등돌린 3가지 이유

김남일 2017. 4. 25. 00: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주적' 이어 송민순 문건 논란에도
여론조사선 되레 '1강 구도' 재편

① '보수 분산' 전대미문 대선 구도
② 철지난 안보 이슈 재탕·삼탕 '피로'
③ "한반도 충돌 원치 않는 여론" 분석도

[한겨레]

5·9 대선 구도를 흔들 최대 변수라던 북한 주적 논란과 ‘북한인권결의안 대북결재’ 논란이 일주일도 버티지 못하고 ‘미열’만을 남긴 채 사그라들고 있다. 나라 안팎에서 한반도 위기설을 부추기는 보도가 이어지고 있지만 오히려 유권자들의 ‘색깔론 면역’만 강화시켰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난 2012년 대선에서 ‘엔엘엘(NLL) 논란’이 선거 막판까지 주요 이슈로 타올랐던 것에 견주면 이례적이다.

이번 대선은 ‘종심’이 짧다. 대통령 탄핵 뒤 불과 60일 만에 치러진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1위를 유지하고 있는 판세를 뒤집을 만한 기회를 찾지 못했던 후보들에게, 공식 선거운동 사흘째인 지난 19일 대선 후보 2차 티브이(TV) 토론회에서 불붙은 ‘북한 주적’ 논란은 ‘기울어진 분위기’를 반전시킬 계기였다. 21일에는 지난해 10월 이미 사그라들었던 ‘송민순 회고록’ 논란까지 재점화하며 불길이 커지는 듯했다. 그러나 23일 방송 토론회에 대한 여론의 평가와 24일 나온 여론조사 결과를 종합하면, 문재인 후보를 겨냥한 안보관·대북관 공격이 쉽게 먹히지 않고 있음을 보여준다. <조선일보>-칸타퍼블릭이 21~22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 문 후보는 지지율 37.5%를 얻어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26.4%와 오차범위 밖으로 격차를 벌렸다. 뒤를 이어 홍준표 자유한국당 후보 7.6%, 심상정 정의당 후보 3.3%,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2.9% 차례였다. 같은 기관의 일주일 전 조사보다 ‘1강 1중 3약 구도’가 더 명확해졌다. 중앙일보 조사연구팀이 23~24일 실시한 조사에서도 문 후보는 39.8%, 안 후보는 29.4%를 얻었다. 홍 후보 11.7%, 심 후보 5%, 유 후보 4.4%였다. 같은 기관의 지난 15~16일 조사에선 문 후보 38.5%, 안 후보 37.3%로 박빙의 경쟁이었으나 일주일 새 1~2위 격차가 큰 폭으로 벌어진 것이다.(두 조사의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 참조) 조사 기간 최대 쟁점으로 떠오른 안보 이슈가 유권자 판단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전문가들은 그 이유로 전대미문의 대선 구도를 꼽는다. <한겨레> 대선정책자문위원인 윤희웅 오피니언라이브 여론분석센터장은 “안보 이슈가 작동하려면 진보-보수 후보가 맞대결하는 구도가 이뤄져야 한다. 그래야 보수 후보가 독점적 수혜를 누릴 수 있다”며 “하지만 안보 이슈에 반응한 일부 보수표들이 홍·유·안 후보로 분산되면서 그 효과가 약화했다”고 분석했다.

반복되는 소재에 유권자들의 관심이 시들해졌다는 것도 또다른 이유다. 김춘석 한국리서치 이사는 “송민순 회고록 논란은 지난해에 이어 이미 두번째고, 유승민 후보가 토론회 때마다 계속 반복해왔다”며 “최근 여론조사 수치에 안보 이슈가 이미 반영됐다고 본다. 남은 선거기간에도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현재 벌어지고 있는 안보 이슈 논란이 ‘발생형’이 아닌 ‘회고형’이기 때문이라는 분석도 있다. 최창렬 용인대 교수는 “북풍은 당장의 안보 위협을 과장하는 프레임인데, 북한 주적 논란, 2000년 대북송금 사건, 2007년 북한인권결의안 등은 현재진행형이 아닌 지나간 과거다. 여기에 유권자들이 반응하기 어렵다”고 했다.

강력한 대북제재에 찬성하는 유권자라도 실제 한반도의 군사적 충돌로 이어질 수 있는 대북정책에는 선뜻 동의하지 않는 ‘안정 희구 표심’이 작동하는 것도 색깔론이 먹히지 않는 요인이다. 여기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라는 ‘예측할 수 없는 변수’가 실제 군사행동을 할지 모른다는 불안감도 깔려 있다. 최 교수는 “2010년 천안함 폭침 이후 치러진 지방선거에서 당시 야권이 ‘전쟁이냐 평화냐’라는 구호를 내걸었고 여기에 유권자들이 반응했다. 안보 이슈를 내세운 후보들의 선거 전략도 일정 부분 바뀌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남일 기자 namfic@hani.co.kr

[관련 영상] <한겨레TV> | 더정치

▶ 한겨레 절친이 되어 주세요! [신문구독][주주신청]
[▶ 대선 팩트체크][페이스북][카카오톡][정치BAR]
[ⓒ한겨레신문 :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한겨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