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월경화-허난설헌' 리허설 현장] "후배가 안무.. 동작 연습 깐깐하게 시켜요"

장지영 기자 2017. 4. 24. 00: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창작이라 익숙지 않은 탓도 하지만 안무가님이 원하는 움직임이 정말 까다로워요."

신승원이 지칭하는 '안무가님'은 국립발레단 후배인 솔리스트 강효형(29)이다.

신승원과 함께 허난설헌 역으로 더블캐스팅 된 수석무용수 박슬기(31)는 "후배라도 작품을 만드는 동안 안무가로서 존중하는 게 당연하다고 본다. 게다가 작품에 대한 강 안무가님의 열정은 깜짝 놀랄 정도"라고 말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립발레단의 신작 '수월경화-허난설헌'의 안무를 맡은 강효형. 김지훈 기자
21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국립발레단 연습실에서 단원들이 ‘수월경화-허난설헌’의 리허설을 하고 있다. 김지훈 기자

“창작이라 익숙지 않은 탓도 하지만 안무가님이 원하는 움직임이 정말 까다로워요.”

지난 21일 서울 서초구 예술의전당 내 국립발레단 연습실. 5월 5∼7일 CJ토월극장 무대에 오르는 국립발레단 신작 ‘수월경화-허난설헌’ 리허설이 한창이었다. 조선시대 여성 시인 허난설헌의 삶과 시에서 영감을 받은 이 작품은 34명이 출연하는 55분짜리 2막 발레. 허난설헌 역의 수석무용수 신승원(30)은 2인무 파트너 이재우(27)와 함께 같은 동작을 여러 차례 반복했다. 이재우의 다리 위에 누웠다가 몸을 꼬아서 다리를 내리는 등 얼핏 봐도 고난도 동작의 연속이다.

신승원이 지칭하는 ‘안무가님’은 국립발레단 후배인 솔리스트 강효형(29)이다. 입단 8년차인 강효형은 국립발레단이 ‘왕자 호동’ 이후 8년 만에 도전하는 전막발레의 안무를 맡았다. ‘요동치다’ ‘빛을 가르다’ 등 10분 안팎의 소품 2개를 선보인 게 전부지만 강수진 단장이 그의 잠재력을 높이 평가해 기회를 준 것이다.

신승원과 함께 허난설헌 역으로 더블캐스팅 된 수석무용수 박슬기(31)는 “후배라도 작품을 만드는 동안 안무가로서 존중하는 게 당연하다고 본다. 게다가 작품에 대한 강 안무가님의 열정은 깜짝 놀랄 정도”라고 말했다.

강효형은 강 단장이 취임 이후 주력하고 있는 안무가 육성 프로젝트의 첫 성과로서 주목받고 있다. 강 단장은 안무가의 산실이었던 친정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을 벤치마킹해 2015년부터 ‘KNB 무브먼트’를 시작했다. 강효형은 국악에 전통춤의 몸짓과 호흡법을 가미한 ‘요동치다’와 ‘빛을 가르다’를 잇따라 선보여 큰 주목을 받았다.

특히 ‘요동치다’는 지난해 7월 슈투트가르트 발레단의 기획 초청공연 ‘넥스트 제너레이션’에서도 선보였다. 강효형은 최근 무용계의 아카데미상으로 불리는 ‘브누아 드 라당스 안무상’ 후보에 오르는 기염을 토했다.

연습실에서 만난 강효형은 무용수들의 동작을 꼼꼼히 살펴보다가 막히는 부분에선 직접 시범을 보이기도 했다. 주역 군무 등 여러 팀들의 리허설을 챙기느라 끼니도 거르기 일쑤인 그는 “소품이던 전작들과 달리 이번엔 전막이기 때문에 신경 쓸 게 훨씬 많다. 55분에 맞는 음악을 뽑아내기 위해 몇 달 동안 귀가 아플 만큼 국악을 들었다”고 웃었다. 하지만 그는 “국립발레단의 안무가 육성 프로젝트에서 이번 작품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기 때문에 책임감이 크다”며 “단원들 역시 다음 기회는 자신들의 차례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어느 때보다 진지하게 도와준다. 안무가 아무리 좋아도 작품의 완성은 무용수인데, 단원들 덕분에 잘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강 단장이 그에게 처음 전막발레 안무를 제안한 것은 지난해 5월. 강 단장이 요구한 것은 세 가지다. 한국적일 것, 스토리가 있을 것 그리고 지나치게 모던하지 않을 것. 강 단장의 연임 여부가 결정 안 돼 실제로 공연될지 여부는 미정이었지만 그는 예전부터 관심 있었던 허난설헌을 소재로 차근차근 준비해 왔다.

그는 “신사임당에 비해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조선시대 대표적 여성 예술가인 허난설헌을 언젠가 무대 위에서 춤으로 표현하고 싶었다”면서 “주옥같은 허난설헌 시들 가운데 ‘감우(感遇)’와 ‘몽유광상산(夢遊廣桑山)’을 모티브로 춤을 풀어냈다. 두 편의 시가 시인의 삶에 대한 강렬한 이미지로 내게 다가왔다”고 설명했다.

‘수월경화(水月鏡花)’는 ‘물에 비친 달, 거울에 비친 꽃’이란 뜻으로 눈에는 보이나 손으로는 잡을 수 없는 것을 의미한다. 그는 천재 시인이었지만 여성을 인정하지 않는 시대에서 스러져간 허난설헌의 모습을 서정적이지만 에너지 넘치는 움직임, 미니멀하지만 아름다운 미장센으로 형상화한다는 계획이다.

글=장지영 기자 jyjang@kmib.co.kr, 사진=김지훈 기자

GoodNews paper ⓒ 국민일보(www.kmib.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Copyright © 국민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