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정의당 홈페이지 당원게시판 캡처
사진=정의당 홈페이지 당원게시판 캡처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가 지난 19일 치러진 KBS TV생방송 토론에서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를 공격하자 이에 반발한 일부 정의당 당원들의 탈당이 이어지고 있다.

심 후보는 이날 "민주당은 지난 10년간 새누리당 정권을 향해 '복지 공약 후퇴는 대국민 사기, 증세 없는 복지는 허구'라고 비판했는데 문 후보 복지 공약에 증세 계획이 전혀 안 나오고 있다"며 "지난 선거에서는 13조 7000억원의 증세계획이 포함돼있는데 지금은 그것마저 없다. 박근혜 정부 따라가는 거 아닌가"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어 김대중·노무현 정부 때 제정된 노동법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심 후보는 "민주정부 10년 동안 제정된 노동악법이 노동자 삶에 크게 작용했다"라며 "참여정부 때 기간제법이 만들어졌고 휴일근로를 주 40시간에 포함하지 않아서 68시간 장시간 근로를 허용했다. 2000년도에 지침이 나오고, 참여정부에서 시정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심 후보는 "그렇기 때문에 저는 민주정부 10년 동안 제정된 악법들이 지금 장시간·저임금 노동 현실을 크게 규정했다고 본다"며 문 후보에게 더 강력한 공약을 세울 것을 요구했다.

이에 20일 정의당 공식 홈페이지 당원게시판에는 탈당하겠다는 당원들의 게시글이 다수 올라왔다. 심 후보의 페이스북 게시글에도 전날 있었던 토론에 대한 불만을 토로하는 댓글이 다수 달렸다.
사진=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 페이스북 댓글 캡처
사진=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 페이스북 댓글 캡처
심 후보를 비판하는 이들은 "심 후보 조차 '민주 정권 10년' 프레임 씌우기에 동참했다"며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가 마치 적폐세력인 것 처럼 묘사한다"고 불만을 토해냈다.

반면 일각에서는 "TV토론은 후보들의 자질과 능력을 검증받는 자린데, 검증을 했다고 심 후보를 비판하는 것은 옳지 않다"고 반박했다.

이와 관련해 정의당의 한 관계자는 "참여정부와 국민의정부 비판에 대해 그동안 당내 참여계 등 당원들 사이에서 쌓인 감정과 불만들이 터진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소현 기자 ks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