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국회·정당

[선택 2017] 정의당과 심상정의 '노(勞)클릭' 성공할까

한영준 기자

파이낸셜뉴스

입력 2017.04.14 18:17

수정 2017.04.14 18:17

정의당 심상정 대선후보가 14일 오전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선대위원장으로 임명된 김영훈 전 민주노총 위원장과 포옹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정의당 심상정 대선후보가 14일 오전 국회 당대표 회의실에서 선대위원장으로 임명된 김영훈 전 민주노총 위원장과 포옹하고 있다. /사진=연합뉴스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가 노동계층과의 스킨십을 연일 늘려가고 있다. 예전 진보정당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했던 노동계층의 지지를 끌어올리기 위한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민주노동당 시절, 진보정당은 민주노총의 배타적 지지를 받아 왔다. 그러나 민주노동당과 통합진보당 분당 등 진보정당들이 부침을 겪으며 민주노총의 배타적 지지도 끊어졌다.


심상정 후보는 14일 김영훈 민주노총 전 위원장을 공동선대위원장으로 영입했다. 심 후보는 “천군만마를 얻은 것 같다”며 “오랫동안 진보정치를 일구는데 함께 했던 선배님들도 고문단에 합류했다”고 밝혔다.

또한 심 후보는 이날 국회에서 민주노총 현직 간부들과 정책간담회를 열어 “(대선) 예비후보 등록한 첫 방문으로 춘천교도소에 한상균 민노총위원장을 면회했다”고 언급한 뒤 “한 위원장이 이번 대선은 노동자들에게 새 희망을 여는 선거가 되어야 한다고 격려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1980년대부터 25년 간 노동운동을 해 왔던 심 후보가 이번 대선을 계기로 '노(勞)클릭'을 본격화한 것이다.

정의당은 이번 대선에서 심상정 후보의 슬로건으로 '노동 있는 민주주의'를 내걸었다. 이와 함께 주요 정책 프로그램으로 ‘정의당 2020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는 2020년까지 노조조직률 20% 달성하는 프로젝트다. 지난 2015년 기준 10.2% 수준인 노조 조직률을 4년 안에 2배로 늘린다는 것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노조 조직률은 27.8%, 북유럽은 60%에 달한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다양한 지지자들이 모인 정의당이 '노동자' 프레임에 갇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당원과 지지자 중에는 '2040세대·수도권·화이트칼라' 계층도 다수 분포돼 있기 때문.

이광재 한국메니페스토실천본부 사무총장은 "미국 대선후보의 경우 공약에 대한 범위를 당원에 승인받는 절차를 거치는데 한국은 후보 따로 정당 따로 가는 경우가 많다"며 "많은 대선후보들이 정당정책 기조 따로 후보 정책 기조 따로 가면 공약 실효성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고 주장했다.

이어 심 후보가 노동조합을 강조하는 것에 대해 "노동의 종말의 시대가 왔다. 누가 노동자인지 구분이 정확하지 않아 노동자가 고용인이 되기도 하는 시대"라며 "노동보다는 좀 더 유연하고 폭넓은 ‘일’이라는 확장된 틀로서 세상을 보면 더 좋은 정책이 나지 않을까 한다"고 지적했다.

당내에서는 이런 우려를 일축했다. 임한솔 정의당 선대위원회 부대변인은 "우선 노동은 심상정의 트레이드마크"라고 운을 뗀 뒤 "방송에서 진보적 유권자에게 강한 영향력을 가진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장관이 당 행사에 참가해 공개적으로 심 후보 지지했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노무현 정부 때 대변인이었던 천호선 선대위원장도 선거 실무를 진두지휘 중"이라고 덧붙였다.

신율 명지대 정치학과 교수는 노동의제를 강조하는 심 후보에 대해 "사실 진보와 보수를 가르는 가장 중요한 문제는 심상정 후보처럼 노동 문제에 힘쓰는 것"이라며 "자본과 노동의 모순을 해결하는 게 진보의 본래적 기능이다.
노동문제를 다루는 진보가 글로벌 스탠다드"라는 의견을 내놨다.

fair@fnnews.com 한영준 기자, 최용준 수습기자

fnSurv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