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中 우다웨이 "사드 반대"…유승민 "中, 안보주권 침해"

中 우다웨이 "사드 반대"…유승민 "中, 안보주권 침해"
바른정당 대선후보인 유승민 후보는 방한 중인 우다웨이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를 면담하고 사드와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습니다.

오늘(11일) 오전 서울 그랜드하얏트호텔에서 이뤄진 면담에서 대표적 사드 배치론자인 유 후보는 사드가 방어용이라는 점을 강조했지만, 북핵 6자회담 중국 측 수석대표인 우 대표는 사드 배치에 반대해 확연한 입장 차를 드러냈습니다.

유 후보는 "사드는 방어용 무기"라면서 "그런 문제와 한중간의 경제협력 문제는 분리돼서 한중관계가 정상적으로 회복되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우 대표는 "사드 문제에서 중국 측이 가장 큰 관심을 갖는 것은 엑스밴드 레이더"라면서 "사드를 배치하면 중국의 북부지방 절반이 다 사드 탐지 반응에 의해 커버된다"고 주장했습니다.

우 대표는 이어 "사드 시스템은 한국 것이 아니라 미국의 것"이라면서 "그렇기 때문에 중국 측은 미국이 한국에 사드를 배치하는 것을 반대한다"고 밝혔습니다.

우 대표는 유 후보가 사드가 방어용이라고 강조하는 대목에서 갑자기 헛기침하기도 했습니다.

또 유 후보가 중국의 경제 보복조치에 대해 "빠른 시일 시간 안에 해결되면 좋겠다"고 지적했지만 우 대표는 특별한 대답 없이 고개를 끄덕이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우 대표는 다만 "중국 정부는 중한관계를 고도로 중요시하고 있다"면서 "중한관계는 지금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중한관계가 다시 올바른 발전궤도에 오를 수 있기를 바라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면담은 이후 비공개로 전환됐습니다.

면담 직후 유 후보는 기자들에게 "사드, 북한 핵 및 미사일, 중국의 경제보복, 한미동맹과 한중관계 등 할 수 있는 얘기는 거의 다 했다"고 전했습니다.

또 사드와 관련해 "중국 측 인식이 바뀌지 않았다고 보이지만 제가 대통령이 되면 대화로 설득해서 문제를 풀 가능성은 봤다"고 말했습니다.

회담에 배석했던 같은 당 김영우 의원은 기자들에게 사드에 대한 중국 측의 문제 제기에 자신과 유 후보가 "안보주권과 국방주권 침해다. 사드 레이더의 문제가 아니고 북한 핵·미사일의 문제다. 문제의 우선순위를 확실하게 해달라"고 말했다고 전했습니다.

유 후보는 특히 "안보는 죽고 사는 문제"라면서 "중국 측도 사거리가 더 긴 레이더를 배치하면서 우리에게 언제 설명을 했느냐"고 따지고 경제 보복조치는 민간이 하는 것이라는 중국 측의 주장에 대해서도 "그것을 믿는 대한민국 국민은 한 사람도 없다. 눈 가리고 아웅 하는 것"이라고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유 후보는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에 따른 대북제재와 관련해서도 "석유공급중단 등 실질적으로 제재하는데 나서달라. 좀 더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유 후보는 "북한의 계속되는 위협과 관련해 어떤 명확한 징후가 보이면 선제타격 옵션이 테이블 위에 올라와 있다. 한미간에 그런 얘기가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대해 우 대표는 대화를 통한 해결과 중국이 유엔 안보리 차원의 대북제재에 동참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면서 "한미동맹과 한미연합훈련이 중국에 위협이 되지 않아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우 대표는 유 후보의 사드 및 대북제재 관련 요청에 대해 "돌아가서 중국 지도부에 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오늘 면담은 중국 측의 요청으로 이뤄진 것으로 언론에 공개된 약 7분간의 모두발언을 포함해 1시간 10분가량 진행됐습니다.

유 후보 측에서는 현직 국방위원장인 김영우 의원과 유 후보 캠프의 지상욱 대변인, 중국 측에서는 추궈훙 주한중국대사 등이 배석했습니다.

우 대표는 유 후보에 이어 오늘 심상정 정의당 후보와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후보 선대위의 송영길 총괄본부장, 심재철 국회 부의장 등과도 잇따라 만날 예정입니다.

차기 대선 후보들의 사드를 비롯한 안보구상에 대한 탐색전에 나서는 한편, 한국 내에서 사드 찬반 논란을 키워 사드 배치를 저지하려는 의도가 깔린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