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질 검사도 기계가 ‘척척’…스마트 공장 확산

입력 2017.04.11 (06:39) 수정 2017.04.11 (07: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산업현장의 자동화 설비들이 인공지능과 결합하면서 우리 제조업 일터의 모습을 뒤바꿔 놓고 있습니다.

'스마트 공장'이라 불리는데요.

그간 글로벌 기업에 비해 뒤쳐지던 국내 시장도 요즘 급성장세입니다.

우리 나라 스마트공장은 어느 수준까지 와있을까요.

송형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식자재를 분류해 배송하는 물류센터입니다.

모양과 수량이 제각각이라 지난해까지는 사람이 일일이 구분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100여 개 센서가 상품 위치를 정확히 1렬로 맞추고, 인식 장치를 통과시키면, 어디에 얼마나 보낼지를 입력된 데이터에 맞춰 분류합니다.

사람의 눈과 손을 똑똑해진 기계가 대신하는 겁니다.

<인터뷰> 최병우(식자재 물류센터장) : "32% 정도 1인당 작업량이 향상됐고요. 작업량이 향상된 만큼 또 작업시간이 단축이 되면서..."

단 한점의 먼지도 허락지 않는 생수 공장.

사람의 손이 닿지 않도록 모든 공정이 자동화됐고, 품질 검사도 센서가 맡습니다.

중앙 통제실 외에 직원은 거의 없습니다.

제품을 옮기는 로봇은 스스로 충돌을 감지해서 자율 주행하고, 안전사고 우려로 로봇과 사람이 함께 작업하지 못하던 한계도 속속 극복되고 있습니다.

수많은 센서에 축적된 정보를 학습해서 알아서 작업 노하우도 쌓아갑니다.

<인터뷰> 이희선(LG CNS 하이테크사업부 부장)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인공지능 신기술과 결합을 해서 스스로 생각하고 운용할 수 있는..."

이런 스마트 공장 확산을 위해 정부는 올해 중소기업 2200여 곳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품질 검사도 기계가 ‘척척’…스마트 공장 확산
    • 입력 2017-04-11 06:41:04
    • 수정2017-04-11 07:12:08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산업현장의 자동화 설비들이 인공지능과 결합하면서 우리 제조업 일터의 모습을 뒤바꿔 놓고 있습니다.

'스마트 공장'이라 불리는데요.

그간 글로벌 기업에 비해 뒤쳐지던 국내 시장도 요즘 급성장세입니다.

우리 나라 스마트공장은 어느 수준까지 와있을까요.

송형국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식자재를 분류해 배송하는 물류센터입니다.

모양과 수량이 제각각이라 지난해까지는 사람이 일일이 구분했습니다.

그런데 지금은 100여 개 센서가 상품 위치를 정확히 1렬로 맞추고, 인식 장치를 통과시키면, 어디에 얼마나 보낼지를 입력된 데이터에 맞춰 분류합니다.

사람의 눈과 손을 똑똑해진 기계가 대신하는 겁니다.

<인터뷰> 최병우(식자재 물류센터장) : "32% 정도 1인당 작업량이 향상됐고요. 작업량이 향상된 만큼 또 작업시간이 단축이 되면서..."

단 한점의 먼지도 허락지 않는 생수 공장.

사람의 손이 닿지 않도록 모든 공정이 자동화됐고, 품질 검사도 센서가 맡습니다.

중앙 통제실 외에 직원은 거의 없습니다.

제품을 옮기는 로봇은 스스로 충돌을 감지해서 자율 주행하고, 안전사고 우려로 로봇과 사람이 함께 작업하지 못하던 한계도 속속 극복되고 있습니다.

수많은 센서에 축적된 정보를 학습해서 알아서 작업 노하우도 쌓아갑니다.

<인터뷰> 이희선(LG CNS 하이테크사업부 부장)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서 인공지능 신기술과 결합을 해서 스스로 생각하고 운용할 수 있는..."

이런 스마트 공장 확산을 위해 정부는 올해 중소기업 2200여 곳을 지원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송형국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