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라지는 술집..주점, 하루 10곳씩 문 닫는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이른바 혼술(혼자 음주)·홈술(집에서 음주)족이 늘어나고 이른바 '2차'가 사라지는 등 음주 문화가 바뀌면서 술집이 빠르게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세청의 생활밀접업종 사업자 현황을 보면 올해 1월 전국 일반주점 사업자는 5만5천761명으로 1년 전(5만9천361명)보다 6.1% 감소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집에서 즐기는 혼술족·사라진 2차 회식문화 등 때문인 듯
(세종=연합뉴스) 김수현 기자 = 이른바 혼술(혼자 음주)·홈술(집에서 음주)족이 늘어나고 이른바 '2차'가 사라지는 등 음주 문화가 바뀌면서 술집이 빠르게 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세청의 생활밀접업종 사업자 현황을 보면 올해 1월 전국 일반주점 사업자는 5만5천761명으로 1년 전(5만9천361명)보다 6.1% 감소했다.
이는 1년 만에 3천600개 감소한 것으로, 하루 평균 10곳가량이 폐업한 꼴이다.
일반주점 사업자는 2015년 12월만 해도 6만명(6만1명)을 넘었으나 매달 감소세를 면치 못하며 1년 만에 5만 명대 중반까지 떨어졌다.
17개 시·도별로 보면 울산에서 술집이 전년 대비 10.9%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고 인천(-10.1%), 서울(-7.8%) 등 특별시·광역시를 중심으로 감소세가 두드러졌다.
술집들이 사라지는 것은 최근 술집 불경기와도 관계 깊다.
통계청에 따르면 매출액을 바탕으로 계산되는 주점업의 서비스업 생산은 2014년 7월 전년 동월 대비 7.6% 늘어난 이후 2016년 6월(3.8%) 딱 한 번을 제외하면 매달 마이너스 성장을 거듭했다.
가장 최근인 2월에도 1년 전보다 4.2% 줄었다.
수치 자체는 더 낮다.
2010년 서비스업 생산을 100으로 봤을 때 지난 2월 주점업의 서비스업 생산은 70.5로, 2000년 1월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래 가장 낮았다.
2010년에 비해 주점업종의 매출액 등이 30% 가까이 감소했다는 뜻이다.
주점업의 부진이 지속하는 것은 혼술 족이 늘어난 것과도 무관치 않아 보인다.
혼술 족들은 식당이나 술집보다 집에서 혼자 술을 마시는 게 일반적이다.
회식 문화가 바뀌고 불경기가 지속하면서 술집으로 가는 2차 회식 문화가 사라지고 있는 탓이기도 하다.
반면 같은 음료업종이지만 커피음료점 사업자는 1월 기준 3만8천202명으로 1년 전보다 20.1%나 늘며 대조를 이뤘다.
시·도별로 보면 세종 내 커피음료점은 31.2%나 늘었고 전북 29.3% 증가하는 등 30% 안팎의 성장세를 보이는 곳도 있었다.
커피음료점을 포함하는 비알콜음료점업의 서비스업 생산은 2015년 6월(-4.8%) 이후 매달 늘었다.
porque@yna.co.kr
- ☞ '못 다 핀 꽃' 아사다 마오, 결국 넘지 못한 김연아의 벽
- ☞ 전혜빈과 열애 이준기 "뒤늦게 마음 전하게 돼 미안한 마음"
- ☞ '불꽃같이 살다간 배우' 김영애 영면하다…애도 속 발인
- ☞ '강제추행 논란' 개그맨 조원석 악플러들 위자료 10만원씩
- ☞ [현장영상] 오버부킹에 승객 강제로 끌어낸 항공사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쓰러진 엄마 심폐소생술로 살린 초등생…어린이날 시장 표창 | 연합뉴스
- 문다혜, '자선행사 모금 기부' 진정 접수돼 입건…경찰 수사 | 연합뉴스
- 경북 칠곡 저수지에 승용차 빠져…50대 운전자 사망 | 연합뉴스
- 뉴욕 메트갈라 빛낸 K팝스타들…블핑 리사 '하의실종' 패션 화제 | 연합뉴스
- 관세로 부자 된다던 트럼프의 태세 전환…"비싸면 덜 사면 된다" | 연합뉴스
- 남편 밭갈이 트랙터에 60대 아내 치여 숨져 | 연합뉴스
- 백종원 "모든 방송활동 중단…더본코리아 성장에 집중" | 연합뉴스
- 베트남서 '고임금' 한국 파견 노동자 선발에 2만3천명 몰려 | 연합뉴스
- 사무실 방화하고 경찰서 난동 부린 50대 변호사, 1심 징역형 | 연합뉴스
- '음주측정 거부' 대수롭지 않게 여기던 50대 벌금 700만원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