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다는 노란 리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노란리본 주문이 7만 개 밀려 있어서 눈코 뜰 새 없이 바빠요."
지난 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노란리본공작소에서 만난 정찬민(60)씨의 말이다.
이처럼 광화문광장으로 직접 찾아와 노란리본을 요청하는 이들도 최근 들어 부쩍 늘었다는 게 공작소 관계자들의 말이다.
친구들과 노란리본을 직접 만들러 광화문에 왔다는 덕계고 1학년 김은지(17)양도 "이제 곧 세월호 3주기가 다가오고 있어 노란리본을 달아 추모하고 싶은 마음이 평소보다 더 크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세월호 참사 3주기·미수습자 수습 본격화로 찾는 이 늘어
[아시아경제 금보령 기자] "노란리본 주문이 7만 개 밀려 있어서 눈코 뜰 새 없이 바빠요."
지난 5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광장 노란리본공작소에서 만난 정찬민(60)씨의 말이다. 정씨는 말하는 도중에도 쉴 틈 없이 노란리본의 재료인 EVA지를 자르고 또 잘랐다. 온라인으로 신청을 받아 제작하는데, 이곳 광화문광장의 경우 하루 3500~5000개를 만들지만 수요는 이를 훌쩍 뛰어넘는다. 결국 개인이나 단체가 한 번에 최대 1000개씩 신청할 수 있던 걸 600개로 줄였다가 4일부터는 100개로 제한했다. 진상규명 등을 위한 서명자들에게 나눠주는 물량을 대기에도 벅차다. 정씨는 "신청 수량이 너무 많아 14일부터는 아예 온라인 신청을 막을까 한다"고 말했다.
이처럼 세월호 참사 3주기가 다가오고 인양 후 미수습자 수색이 본격화되면서 노란리본을 다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무사귀환을 기다림'이라는 뜻인 노란리본은 미국 남북 전쟁당시 청교도 부대에서 유래됐다. 우리나라에선 2014년 4월 세월호 참사 후 실종자들의 무사귀환을 바라는 의미에서 노란리본 캠페인이 시작됐다. 사람들은 직접 옷 가슴팍에 노란리본을 부착하는 것은 물론 각각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노란리본 그림을 올려 추모의 마음을 전하고 있다.
마침 이날 중학생 딸을 뒀다는 중년 남성 한 명이 광화문 노란리본공작소로 찾아와 "딸 아이가 학교 친구들과 함께 노란리본을 단다고 해서 근처에 왔다가 대신 받을 겸 여기 들렀다"며 노란리본을 요청했다. 100개를 받은 그는 "여기까지 왔는데 100개만 더 주실 수 없냐"고 물어보기도 했다. 이처럼 광화문광장으로 직접 찾아와 노란리본을 요청하는 이들도 최근 들어 부쩍 늘었다는 게 공작소 관계자들의 말이다.
서울 종로구 통인동 참여연대에 있는 서촌 노란리본공작소도 바쁜 건 마찬가지다. 이곳을 담당하는 장동엽 참여연대 시민참여팀 선임간사는 "최근 노란리본을 찾는 분들이 훨씬 많아졌다"며 "이전에는 신청 단위가 20~30개였는데 요새는 1000개 단위로도 들어온다"고 설명했다. 노란리본의 인기는 특히 젊은 층에서 높다. 대학생 장모(25)씨는 "그동안 세월호에 대해 잊고 있었는데 지난달 선체 인양 소식을 접하고 '내가 그들을 위해 할 수 있는 게 뭘까' 고민했다"며 "가장 쉽게 할 수 있는 게 노란리본을 다는 일이라고 생각해 최근 가방에 달게 됐다"고 말했다.
친구들과 노란리본을 직접 만들러 광화문에 왔다는 덕계고 1학년 김은지(17)양도 "이제 곧 세월호 3주기가 다가오고 있어 노란리본을 달아 추모하고 싶은 마음이 평소보다 더 크다"고 말했다. 한편 광화문 인근 서촌에선 78개 가게들이 모여 지난 1일부터 '서촌길 노랗게 물들이기' 캠페인을 진행 중이다. 매장마다 노란리본을 비치해 나눠주고 있다. 가게 주인들은 "세월호를 추모하며 진실을 밝히는 데 공감해달라는 취지"라고 말했다.
금보령 기자 gold@asiae.co.kr
Copyright © 아시아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93세라고? 50대인 줄"…이길여 가천대 총장 근황에 '깜짝' - 아시아경제
- "한국인·중국인은 오지마"…일본 식당들, 줄줄이 '출입금지' 왜? - 아시아경제
- 손흥민, 공갈 혐의로 20대 여성 고소…"임신 속여 수억원 금품 요구" - 아시아경제
- 성수기 에베레스트 간다고?…"입산료 2100만원 입니다" - 아시아경제
- "임신한 척 편하게 지내더라"…감옥서도 사기 친 전청조 - 아시아경제
- '세종대왕 나신 날' 영상에 日신사…"있을 수 없는 일" - 아시아경제
- "인도 전투기 격추됐다" 中 조롱 영상 1억뷰 돌파…인도인들 분노 - 아시아경제
- "과소평가했다" 목표주가 140만원대 '픽'…깜짝실적에 황제주 등극한 삼양식품[특징주] - 아시아
- 유시민 "이재명 최소 55% 김문수 최대 35% 득표"…근거 알고보니 - 아시아경제
- 韓, 아시아물리올림피아드서 전원 입상…이혁준 학생 종합 1위 - 아시아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