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직원 근속연수 평균 10년..기아차 20.3년 최장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10대 그룹 주요 계열사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근속연수는 평균 10년이었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공시된 지난해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10대 그룹 상장사 88곳 직원들의 근속연수 평균은 10.0년에 달했다.
두산그룹은 두산밥캣을 제외하면 그룹 직원 평균 근속연수가 9.0년에서 10.2년이 길어지고 삼성그룹은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빼면 9.3년에서 9.8년으로 늘어난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현대차·현대중공업그룹 계열사 상위권 포진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10대 그룹 주요 계열사에 근무하는 직원들의 근속연수는 평균 10년이었다.
직원들의 평균 근속연수가 가장 긴 회사는 기아차였다. 현대로템, 현대비앤지스틸, 현대차 등 현대차그룹 상장사들도 모두 상위권에 포진했다.
4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최근 공시된 지난해 사업보고서 기준으로 10대 그룹 상장사 88곳 직원들의 근속연수 평균은 10.0년에 달했다.
그룹별로는 현대중공업그룹이 15.7년으로 가장 길었다.
이어 현대차그룹(12.7년), 한화그룹(12.0년), 한진그룹(10.2년), 롯데그룹(9.7년), SK그룹(9.4년), 삼성그룹(9.3년), 두산그룹(9.0년), LG그룹(8.6년) 등 순이었다.
GS그룹은 7.5년으로 가장 짧았다.
◇ 10대 그룹 직원 평균 근속연수 (단위: 년)
두산그룹은 두산밥캣을 제외하면 그룹 직원 평균 근속연수가 9.0년에서 10.2년이 길어지고 삼성그룹은 삼성바이오로직스를 빼면 9.3년에서 9.8년으로 늘어난다.
또 한진칼을 제외하면 한진그룹 직원 근속연수는 평균 10.2년에서 13.1년으로 3년가량 늘어난다.
5년 전만 해도 직원 평균 근속연수는 현대비앤지스틸이 20.6년으로 가장 길었다. 현대로템 18.3년, 현대중공업 18.2년, 현대차 17.6년, 기아차 17.3년 등 순으로 근속연수가 길었다.
기아차는 5년 새 평균 3년, 현대로템은 1.7년 늘어났지만 현대비앤지스틸은 1.2년 줄었고 현대차는 0.1년 짧아졌다.
현대중공업은 18.2년에서 15.4년으로 대폭 짧아졌다. 구조조정 등으로 퇴직자가 늘었기 때문이다. 이 회사의 직원 수는 지난해 말 2만3천77명으로 5년 전(2만4천948명)보다 1천871명(7.5%) 줄었다.
kaka@yna.co.kr
- ☞ 日초등 교과서 검정결과에 일본 빵집들이 분노하는 이유
- ☞ 초등생 살해·시신유기 10대 소녀 "고양이 괴롭혀 화났다"
- ☞ 3년만에 올라온 세월호 여행가방…주인은 단원고 김모양
- ☞ 최순실 "죽을만큼 억울…박 전 대통령 구속 참변"
- ☞ 사라지는 유학생들…"공부한다"며 한국 와서 종적 감춰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