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파원+] '가부장제' 복원 나서는 트럼프.. '여성 차별' 노골화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양성 평등을 거부하고, 여성 차별을 노골화하는 가부장제 사회 복원에 나서고 있다. 미국의 시사 종합지 ‘뉴 리퍼브릭’은 3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백인 남성 편향의 내각 및 백악관 참모진을 구성한 뒤 양성 평등 사회 실현을 위한 세계사적 흐름에 정면으로 도전장을 내밀었다고 보도했다.
|
최근 백악관 회의실에서 마이크 펜스 부통령 주재로 열린 오마바케어 폐지 대책 회의 모습으로 여성이 단 한 명도 보이지 않는다. 백악관 제공 |
|
미인대회 주최자였던 도널드 트럼프. |
펜스 부통령은 최근 “절대 아내가 아닌 여성과 둘이서 밥을 먹지 않고, 아내를 동반하지 않은 술자리 행사에 참석하지 않는다”고 말한 것으로 워싱턴 포스트(WP)가 최근 보도했다. 펜스 부통령은 독실한 기독교 신자로서 남성이 지켜야 하는 ‘계율’을 충실히 지키려 드는 인물이라고 WP가 전했다. 펜스 부통령의 이 같은 극단적인 여성관은 기사도 정신을 가장한 가부장제 의식 구조를 여실히 드러내고 있다는 비판이 쇄도하고 있다. 뉴 리퍼블릭은 “트럼프 대통령과 펜스 부통령의 여성관은 가부장제라는 동전의 앞과 뒤”라고 지적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여성을 성희롱의 대상으로 보고, 펜스 부통령은 여성의 사회 진출을 고려하지 않은 부권 사회 의식 구조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
미국 워싱턴에서 열린 ‘국제 여성의 날’ 집회에 참여한 여성들이 트럼프 반대 시위를 하고 있다. 연합뉴스 |
◆꼬리를 물고 이어지는 성차별 정책
최근 백악관은 펜스 부통령이 주재한 오바마케어 폐지 대책 회의 모습을 담은 한 장의 사진을 공개했다. 펜스 부통령과 백악관 참모 및 공화당의 보수파 의원 모임인 ‘프리덤 코커스’ 회원 등의 모습을 찍은 이 사진에 여성은 단 한 명도 없었다. 뉴욕 타임스의 질 필리포빅 칼럼니스트는 백악관이 이 사진을 공개한 것은 실수가 아니라 의도적인 홍보 전략에 따른 것이라고 지적했다. 필리포빅은 “트럼프 대통령이 내세운 구호인 ‘미국을 다시 위대하게’라는 구호는 전통적인 남성 우위 사회를 복원하겠다는 암묵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고, 이 사진이 그 메시지를 정확하게 보여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트럼프 정부는 양성 평등과 여성 인권 증진을 위해 필수적인 임신 선택권을 부인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 트럼프 정부는 새해 연방 정부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낙태를 허용하는 국제 기구에는 미국이 분담금을 내지 않겠다고 밝혔다. 트럼프 정부의 이 같은 결정으로 피임 도구 등이 없는 열악한 환경의 개도국 여성이 직접적인 피해를 보게 될 것이라고 뉴욕 타임스가 지적했다.
트럼프 정부는 ‘미국가족계획연맹’(Planned Parenthood·PPFA)에 낙태 시술을 중단하지 않으면 연방 정부 지원금을 주지 않겠다고 통보한 것으로 미국 언론이 최근 보도했다. 1916년 설립된 PPFA는 가난한 여성을 위한 성명 예방 및 치료, 임산부 건강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미국의 대표적인 여성 권익 옹호 단체이다. 다만, 이 단체가 피임약과 피임기구, 낙태 시술 등도 지원하기 때문에 트럼프 정부와 보수 세력의 표적이 되고 있다.
◆트럼프 정부 장관과 백악관 참모진은 ‘올 메일 클럽’(all―male club)
트럼프 정부의 초대 내각은 로널드 레이건 정부(1981∼1988) 이래 백인 남성 편중이 가장 심하다. 트럼프 정부의 22명에 이르는 장관급 고위 인사 중에서 백인 남성이 18명으로 82%에 이른다. 트럼프 정부의 각료급 여성은 4명으로 지난 30년 사이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역대 정부 초대 내각을 기준으로 할 때 전임 버락 오바마 정부에서는 각료급 인사 중에서 백인 남성이 8명에 그쳤고, 여성과 소수 인종이 14명에 달했다. 백인 남성 장관급 인사는 레이건 정부 17명, 조지 H.W.부시 12명, 빌 클린턴 10명, 조지 W. 부시 11명 등이었다.
뉴 리퍼블릭은 “트럼프 정부 각료 구성비는 결코 우연이 아니다”면서 “이는 트럼프가 꿈꾸는 가부장제 사회 복원을 위한 혁명의 결과이다”고 지적했다. 미국의 여성들은 반 트럼프 운동의 선봉에 섰다. 지난 1월 20일 열린 트럼프 대통령 취임식 참석자는 25만 명 가량이라고 워싱턴 포스트(WP) 등이 보도했다. 그러나 그 다음날 열린 ‘여성 행진’에는 워싱턴 DC에만 50만 명 가량이 집결했다고 WP가 전했다. 트럼프의 가부장제 사회 복원 움직임과 이에 맞서는 여성들의 반 트럼프 운동이 미국의 향후 정치 지형을 결정하는 핵심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국기연 특파원 kuk@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정통한 소식통에 들었다”던 박지원…이재명 파기환송에 “예상외 판결”
- "(뉴진스) 계약은 장난이 아니다" 레전드 프로듀서의 일침
- ‘야구선수 출신’ 아빠 야구방망이에 온몸 멍든 채 숨진 11살
- “이것들 봐라? 한 달만 기다려라” 민주당 ‘보복’ 예고?…하루도 안 넘기고 심우정 총장 탄핵
- '도난 피해' 박나래, 결국 눈물 쏟았다…김지연 "한결같이 잘해준 유일한 분"
- 백종원 “이제 다 바꾸겠습니다”…50억 쏟아부은 이유
- 일부러 챙겨 먹었는데…1급 발암물질 검출된 건강식품 대명사
- “왜 죽었지” 오열하던 남편…신혼 아내 살해한 범인이었다
- 사랑 나눈 후 바로 이불 빨래…여친 결벽증 때문에 고민이라는 남성의 사연
- "오피스 남편이 어때서"…男동료와 술·영화 즐긴 아내 '당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