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제주 4.3 화해와 상생, 교육가치로 삼겠다"



제주

    "제주 4.3 화해와 상생, 교육가치로 삼겠다"

    이재정·조희연·장휘국·최교진 교육감 4·3 희생자추념식 공동 참석

    이재정 경기도교육감과 조희연 서울특별시교육감, 장휘국 광주광역시교육감, 최교진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이 3일 제주4.3 추념식’에 참석했다. (사진=제주도교육청 제공)

     

    제주 4·3 추념식에 시도교육감들이 참석해 4·3의 화해와 상생의 의미를 교육적 가치로 활용하겠다고 말했다.

    조희연 서울시교육감, 이재정 경기도교육감, 장휘국 광주광역시교육감,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3일 제주 4·3 69주년 4·3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해 헌화와 분향을 했다.

    이들은 4·3희생자 추념식에 참석한 후 "평화와 인권, 민주주의, 정의 등 4·3의 가치가 역사교육을 통해 발현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이날 오후에는 제주도교육청 기자실에서 이석문 제주도교육감과 함께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정 역사 교과서 문제로 4·3유족들과 도민들께서 많은 상처를 입었다"며 "앞으로 수학여행때 제주를 비롯해 각 지역 역사 유적을 방문하는 프로그램을 만들겠다" 입을 모았다.

    또 "과거 교학사 교과서를 비롯해 국정 역사교과서, EBS교재 등에서 행해져온 4·3 왜곡·폄하도 시도교육감협의회 차원에서 적극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이들 교육감은 또 4·3의 전국화와 미래 지향적인 역사 교육 실현 계획에 대한 구체적인 입장을 피력했다.

    장휘국 광주교육감은 "학생들에게 민주화운동의 소중한 가치를 제대로 교육하겠다"고 말했다.

    조희연 서울교육감은 "서울에서 제주로 학생들이 많이 오게 되면 단순히 아름다운 풍광만 보는 것이 아니라 사회·역사 투어가 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재정 경기교육감은 "학교마다 4월이 되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 등을 활용해 4·3 계기교육을 하겠다"고 밝혔다.

    최교진 세종시교육감은 "매해 4월이면 세월호 추모와 4·3 역사 계기교육을 함께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며 "수학여행 갈 때 참고할 수 있는 자료를 만든다면 함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석문 제주도교육감을 비롯해 이재정 경기도교육감과 조희연 서울특별시교육감, 장휘국 광주광역시교육감,최교진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이 3일 오후 1시 제주도교육청 기자실에서 기자간담회를 가졌다. (사진=제주도교육청 제공)

     

    ◇ 제주4·3 69주년 4개 시도교육감 기자회견문 전문

    비행기를 타고 제주에 오면서 현재에서 과거로, 시간을 거슬러 가는 기묘한 느낌이 들었습니다.

    현재의 공간인 집무실을 출발해 세월호의 기억과 아픔이 드리워진 멩골 수도와 팽목항, 목포신항을 지나 69년 전 제주 4·3의 비극 중에서도 가장 큰 희생의 역사를 품고 있는 옛 정뜨르 비행장인 제주국제공항에 발 디뎠을 때.

    그토록 찬란한 제주의 봄 햇살에서 카뮈의 '이방인' 속 햇살의 모순이 떠올려졌고 거리마다 핀 형형색색 꽃들에서 강요배 화백의 '동백꽃 지다'가 사무치게 그려졌으며, 평소처럼 월요일 일상을 시작한 제주 도민들의 얼굴에서 오랜 세월 '살아지믄 살아진다'를 되뇌이며 한(限)과 상처를 위무해 온 4·3 유족들의 얼굴과 세월호 유족, 미수습자 가족들의 얼굴이 투영됐습니다.

    그런 마음을 안고 제69주년 제주4·3 추념식을 참석했습니다. 헌화와 분향을 하고, 유족들과 도민들에게 인사를 드렸습니다. 여전히 아프고 그리울 텐데 '잘 오셨습니다'라며 환영해주시고 손을 꼭 잡아주셨습니다. 감사하면서 송구스러웠습니다.

    좀 더 일찍 오지 못한 것에 대한 송구스러움입니다. 형언할 수 없는 비극을 진상규명과 평화와 인권, 화해의 역사로 승화시켜 온 것에 대한 감사함과 경외감입니다.

    이 시간 이후 저희는 다시 제주공항을 시작으로 목포신항, 팽목항을 지나 현재의 업무 공간으로 돌아갑니다. 그러나 현재로만 머물지 않겠습니다. 4·3의 미래를 이야기하고 만들어 가겠습니다.

    올해와 4·3 70주년을 기점으로 역사 교육의 새로운 시대적 전환을 만들겠습니다.

    국정 역사 교과서 문제로 4·3유족들과 도민들께서 많은 상처를 입으셨습니다. 갈등과 혼란의 토양에서 미래지향적이고 희망적인 역사 교육의 싹을 틔우기 위해 교육감들이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그 성과 중 하나가 최근 제주교육청이 최초로 발간한 4·3역사 초중등 교재입니다.

    4·3역사가 발현하는 평화와 생명의 소중함, 상생의 가치를 역사 교육에 담겠습니다. 이를 통해 아이들을 정의로운 세계 민주시민으로 충실히 키워나가겠습니다.

    그 일환으로 역사 교육 내실화를 위한 전국 교육청의 교류, 협력을 강화하겠습니다. 제주교육청을 중심으로 4·3 유적과 다른 지역 역사 유적을 연계하는 수학여행 코스가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교류가 점차적으로 확산되면서, 올해 제주에 오는 수학여행단 규모가 지난해에 비해 증가하는 고무적인 성과가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앞으로 교육청간 교류 협력을 확대해 전국의 아이들이 수학여행 때 제주를 비롯해 각 지역 역사 유적을 방문해 역사적 사실과 그 안에 담긴 미래적 가치를 온 몸으로 체화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제주 4·3 교재를 비롯해 전국 교육청이 발간한 역사 교재를 적극 공유, 활용해 각 지역의 중요한 역사를 충실히 전하고, 본질적 의미를 함양시키겠습니다. 전국 역사 교사들의 교류, 협력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역사 교육의 질을 근본적으로 제고해 나가겠습니다.

    아울러 과거 교학사 교과서를 비롯해 국정 역사교과서, EBS교재 등에서 행해져온 4·3 왜곡‧폄하도 시도교육감협의회 차원에서 적극 대응하겠습니다.

    4·3이 지속적으로 계승, 승화되기 위한 핵심 전제는 '교육'입니다. 한반도를 둘러싸고 갈수록 불투명해지는 동북아의 정세를 극복하는 토대 또한 '교육'입니다.

    이러한 절체절명의 시대적 과제 앞에서 우리 교육감들은 4·3이 웅변하고 있는 평화와 인권, 민주주의, 정의의 가치가 역사 교육, 나아가 아이들의 삶에서 실천되고 발현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그것은 오늘, 4·3 영령들에게 약속한 이 땅의 영원한 평화와 인권, 민주주의, 정의를 실현하는 가장 마땅한 길이기도 합니다.

    제69주년 제주4·3을 추모하며, 4·3 영령들의 해원과 명복을 빕니다. 저희를 따뜻하게 맞아주신 4·3 유족들과 도민들에게도 위로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