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 본문 바로가기 회사정보 바로가기

김창준 위원장 "세월호 선체절단 안된다"…해수부와 '이견'

"절단 미수습자 수색·진실규명 방해"
4월5일 미수습자 가족 만나 수습 방안 설명

(목포=뉴스1) 전원 기자, 박정환 기자 | 2017-03-31 11:55 송고 | 2017-03-31 11:58 최종수정
김창준 세월호 선체조사위원장이 30일 오후 전남 진도군 서망항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선체조사위원들과 함께 이날 오전 동거차도 앞바다에서 목포신항 이송을 위한 준비작업 중인 세월호 선체를 둘러봤다.2017.03.30/뉴스1 © News1 황희규 기자
김창준 세월호 선체조사위원장이 30일 오후 전남 진도군 서망항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김 위원장은 선체조사위원들과 함께 이날 오전 동거차도 앞바다에서 목포신항 이송을 위한 준비작업 중인 세월호 선체를 둘러봤다.2017.03.30/뉴스1 © News1 황희규 기자

김창준 세월호 선체조사위원장은 31일 "해양수산부와 코리아샐비지가 주장하는 '객실 직립방식' 선체 절단 방안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김 위원장은 이날 뉴스1과의 통화에서 "기본적으로 선체 절단은 안된다고 생각한다. 미수습자 수습에 적절하지 않고 더 좋은 방안을 찾아본 다음 최후로 해야할 수단이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선체 절단은)전기 배선과 파이프 배선 등이 다 끊어지는 등 진상규명에도 방해가 된다"고 강조했다.

미수습자 수색과 관련해선 "코리아샐비지 측을 만나 수습과 관련한 의견을 묻고 4월3일까지 답을 받을 것"이라며 "4월 5일 미수습자 가족들을 만나 저희가 가지고 있는 수색방안을 말씀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큰 방향을 보면 절단은 유보해 놓고 가능한 안전한 모든 방법을 동원할 것"이라며 "내부 진입로 확보와 수색 요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하면 일부 절단을 할 수도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다만 해수부와 코리아샐비지의 절단 방안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앞서 김 위원장은 지난 30일 세월호 작업현장을 둘러본 뒤 전남 진도 팽목항에서 기자들을 만나 로봇카메라를 동원해 객실 내부의 상태를 살펴볼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필요하면 일부 절단을 해야겠지만 근본적으로 절단이 최선은 아니라고 개인적으로 생각한다고 했다.

한편 해양수산부는 지난해 8월29일 전문가 8명으로 구성된 '세월호 인양선체 정리 기술검토 TF'에서 객실직립 방식이 미수습자 수습, 작업기간, 선체손상 가능성 등에서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객실 직립방식'은 객실부만을 분리해 바로 세운 상태에서 작업하는 것으로 객실 분리 과정에서 화물칸 상단이 일시에 절단되나, 이 부분이 외벽이며 사고 당시 이미 대부분 영상으로 공개된 부분이기 때문에 작업 전 준비를 철저히 한다면 사고 원인 조사 등에 영향이 없다고 결론내렸다.


junwon@

이런 일&저런 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