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유튜브

세월호, 바지선에 쇠줄로 묶는 '고박 작업' 진행

등록 2017.03.23 07:56:00수정 2017.03.23 07:56:03

  • 이메일 보내기
  • 프린터
  • PDF
【서울=뉴시스】진도 해상에서 침몰한 세월호가 23일 오전 3시45분께 스태빌라이저로 추정되는 세월호 구조물 일부가 육안으로 수면 위에서 관측됐다. 사진은 선체전체부양 6시 20분 모습. 2017.03.23. (사진=해양수산부 제공)  photo@newsis.com

【진도=뉴시스】박성환 기자 = 수면 위로 올라온 세월호 선체 위에서 인부가 고박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석)는 "23일 오전 7시 현재 세월호화 바지선가 1차 고박을 위해 인부가 세월호 선체 위에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고 23일 밝혔다.

 고박 작업은 인양된 세월호를 잭킹바지선 2척에 쇠줄로 단단히 묶는 절차다. 고박 작업이 마무리 되면 세월호 선체는 사흘에 걸쳐 약 1㎞ 가량 떨어진 반잠수식 선박으로 옮겨진다. 

 해수부와 상하이샐비지는 23일 오전 11시께 선체를 이동에 필요한 만큼 끌어올린다는 목표로 전날 오후 8시 50분부터 세월호 본 인양을 시작했다.

 시간당 3m 안팎으로 인양 와이어(줄)를 끌어당기면서 전날 오후 11시10분 세월호 선체가 해저면에서 약 9m 높이까지 올라왔다. 23일 오전 3시에는 선체를 해저면에서 약 18.2m까지 끌어올려 수면 위로 부상하기까지 불과 3.8m를 남겨뒀다. 45분 후에는 이 거리도 좁혀졌다.

【서울=뉴시스】전진우 기자 = 해양수산부는 이날 "인양장비를 최종 점검한 뒤 오전 10시부터 시험인양을 개시한다"고 밝혔다.  시험인양은 잭킹바지선과 세월호 외벽에 깔린 리프팅빔에 설치된 인양 와이어줄 66개를 유압으로 당겨 선체를 해저면에서 1~2m 들어올리는 작업이다. 시험인양은 배를 떠받치고 있는 리프팅빔 33개에 실리는 하중과 배의 무게중심 등이 예측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절차다.  해수부는 시험인양을 무사히 마치고, 기상 여건이 충족되면 선체를 수면위로 끌어올리는 본 인양 작업에 착수할 예정이다.  618tue@newsis.com

 인양이 정상적으로 진행되면 이날 오전 11시께 세월호가 수면 위 13m까지 부상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부상시기는 현장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고 해수부 측은 설명했다.

 해수부와 인양업체인 상하이샐비지는 이날 오전 10시께 세월호 시험 인양을 개시, 오후 3시30분 선체를 해저면에서 1m 들어올리는 작업에 성공했다.

 [email protected]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