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인양’ 어떻게?

입력 2017.03.22 (12:08) 수정 2017.03.22 (12:2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세월호 인양을 위한 모든 준비는 끝났습니다.

수심 40여 미터 아래 세월호를 물 위로 끌어올리는 일만 남았습니다.

세월호 인양은 어떻게 이뤄지는지, 이윤희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리포트>

세월호는 수심 40여 미터 아래 선체 왼쪽면을 바닥에 댄 채로 누워있습니다.

인양 첫 단계는 이 선체를 두 대의 바지선으로 들어올리는 것.

바지선과 세월호를 연결한 66개 쇠줄에 실제로 유압을 작동시켜 조금씩 당겨올리는 방식입니다.

인양 시작 후 약 6시간 정도 뒤면 세월호 선체 높이 22m 가운데 약 13미터 정도가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3년 동안 물 속에 잠겨있던 세월호의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순간입니다.

물 위로 올라 온 선체를 바지선과 고정하는 작업을 마치면 세월호는 약 1km 정도 떨어진 반잠수식 선박으로 옮겨집니다.

이어, 세월호 선체에 여러개의 작은 구멍을 뚫어 물과 기름을 빼는 작업이 시작됩니다.

현재 세월호 내부에 들어 있는 바닷물은 약 2천여 톤으로 배수에만 약 이삼일이 걸릴 전망입니다.

이 작업이 끝나면 세월호를 실은 반잠수선은 침몰 현장인 맹골수로를 떠나 목포로 향하게 됩니다.

약 87km 떨어진 목포신항 철재 부두까지 꼬박 하루 정도 이동할 것으로 보입니다.

철재부두 앞 바다에 도착해 선체와 잠수함의 분리 작업을 마치면 세월호는 뭍으로 올라오게 됩니다.

이 모든 일정까지 약 13일 정도 걸릴 것으로 정부는 예상하지만, 변화무쌍한 바다 날씨와 작업 중 돌발 상황에 따라 기간은 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세월호 인양’ 어떻게?
    • 입력 2017-03-22 12:14:15
    • 수정2017-03-22 12:21:45
    뉴스 12
<앵커 멘트>

세월호 인양을 위한 모든 준비는 끝났습니다.

수심 40여 미터 아래 세월호를 물 위로 끌어올리는 일만 남았습니다.

세월호 인양은 어떻게 이뤄지는지, 이윤희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리포트>

세월호는 수심 40여 미터 아래 선체 왼쪽면을 바닥에 댄 채로 누워있습니다.

인양 첫 단계는 이 선체를 두 대의 바지선으로 들어올리는 것.

바지선과 세월호를 연결한 66개 쇠줄에 실제로 유압을 작동시켜 조금씩 당겨올리는 방식입니다.

인양 시작 후 약 6시간 정도 뒤면 세월호 선체 높이 22m 가운데 약 13미터 정도가 수면 위로 떠오르게 됩니다.

3년 동안 물 속에 잠겨있던 세월호의 모습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순간입니다.

물 위로 올라 온 선체를 바지선과 고정하는 작업을 마치면 세월호는 약 1km 정도 떨어진 반잠수식 선박으로 옮겨집니다.

이어, 세월호 선체에 여러개의 작은 구멍을 뚫어 물과 기름을 빼는 작업이 시작됩니다.

현재 세월호 내부에 들어 있는 바닷물은 약 2천여 톤으로 배수에만 약 이삼일이 걸릴 전망입니다.

이 작업이 끝나면 세월호를 실은 반잠수선은 침몰 현장인 맹골수로를 떠나 목포로 향하게 됩니다.

약 87km 떨어진 목포신항 철재 부두까지 꼬박 하루 정도 이동할 것으로 보입니다.

철재부두 앞 바다에 도착해 선체와 잠수함의 분리 작업을 마치면 세월호는 뭍으로 올라오게 됩니다.

이 모든 일정까지 약 13일 정도 걸릴 것으로 정부는 예상하지만, 변화무쌍한 바다 날씨와 작업 중 돌발 상황에 따라 기간은 더 길어질 수도 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