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순실 의혹' 터질 때마다 파쇄기 사들인 청와대..왜?

서복현 2017. 3. 15. 22:09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검찰과 특검의 청와대 경내 압수수색이 무산된 가운데 범죄 단서가 될 수 있는 청와대 문건이 파기될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오늘(15일) 새로 나온 소식은 청와대가 최순실 국정개입 사건 이후 흔히 '파쇄기'라고 하는 문서세단기를 20여 대나 구입한 것으로 확인됐다는 겁니다. 1부 내용에 더해서 역대 대통령의 기록물 현황을 토대로 청와대 문건 파기 우려에 대해 짚어 보겠습니다. 서복현 기자 나와 있습니다.

흔히 파쇄기라고 하는데 정확하게 문서 세단기라면서요? 잘게 써는. (그렇습니다) 청와대가 무더기로 샀다는 것인데 혹시 어느 정도 성능인지도 나옵니까?

[기자]

문건에 모델명까지는 나오지 않는데요. 다만, 단가를 보면 80만 원에서 비싸게는 100만 원이 넘기도 했습니다.

문서세단기의 시중 가격대를 보니 이 정도 가격이면 상당히 성능 좋은 세단기를 구매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앵커]

지난해 9월 그러니까 최순실 국정개입 사태 이후에 집중적으로 구매됐다는 것이죠?

[기자]

네, 더불어민주당 백혜련 의원실을 통해 확보한 조달청 문건에는 대통령비서실이 지난해 9월 27일, 최순실 국정개입 사건이 불거진 지 일주일 만에 문서세단기 2대를 조달청에 구매 요청했고요.

특히 JTBC 태블릿 PC 보도 다음 날인 지난해 10월 25일부터는 수를 늘려 10월 25일 6대, 11월에 6대, 지난 1월에도 6대, 그리고 특검 압수수색 전날인 지난달 2일에도 6대를 사달라고 조달청에 요청한 것으로 나옵니다.

지난 1년을 보면 9월 이전인 6개월 동안에는 문서세단기 구매 요청이 없었습니다.

[앵커]

그게 중요한 거죠? 그 전에도 문서 세단기가 구매가 가끔씩 됐더라면 모르겠는데 그 이후에 특히 저희가 보도했던 태블릿PC 보도 이후에 집중적으로 또 돼 있다라는 것은 뭘 의미하는 것이냐. 그만큼 파쇄할 것이 많았다, 이런 얘기로밖에 상식적으로는 받아들여지지 않는데. 1부에서 잠깐 말씀드렸습니다만, 그래서 예를 들어서 태블릿PC가 조작됐다고 주장을 계속하고 있는 세력들이 있잖아요. 그것이 전혀 사실이라면, 실제로 사실이라면 뭘 이렇게 파기할 것이 많았겠느냐 이런 생각을 당연히 할 수밖에 없는 것이고요. 구매 목적은 물론 정확하게 알 수는 없는 것이기는 합니다. 공식적으로 나온 것이 없는데. 그런데 문서 세단기라는 게 뭐에 쓰인다는 것은 우리가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것이고. 최순실 국정개입 사건이 터진 후부터 집중적으로 이루어졌다는 것, 즉 범죄의 증거가 될 수 있는 문건을 파기하기 위한 목적이었다는 것, 이게 합리적인 의심이죠?

[기자]

이미 안종범 전 수석에게 증거인멸 혐의가 적용된 상태이고요. 검찰은 청와대가 조직적으로 증거를 인멸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실제 박 전 대통령은 지난해 10월 안 전 수석 등 참모들과 대책회의를 열어 사실을 은폐하려 한 정황도 드러난 상황입니다.

[앵커]

그런데 문건이라는 것이 대부분 요즘은 전자 문서 형태로 저장이 되기 때문에 이 문서세단기가 얼마나 의미가 있을 것인가 하고 궁금해하시는 시청자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기자]

청와대에서 전자문서를 주로 생산한다고는 하지만 그렇지 않은, 그러니까 비전자문서도 많습니다.

대통령기록관 홈페이지에 게시된 역대 기록물 현황을 좀 보면 먼저 노무현 전 대통령의 경우에 750만 건의 기록물이 이관됐는데요. 그중 비전자 문서가 52만여 건이었습니다.

또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 1088건 중에서 43만여 건이 비전자 문서였습니다.

[앵커]

이명박 전 대통령의 경우에 넘어간 기록물이 정확하게 몇 건입니까? 1080만여 건 아닙니까?

[기자]

1088만 건입니다.

[앵커]

1088만 건. 아까 1088건이라고 해서.

[기자]

1088만 건이고요. 그중에 48만여 건이 비전자 문서고요. 또 이걸 봤을 때 이렇게 전자 형태가 아닌 비전자 형태의 문서가 많이 생산됐다는 것을 알 수가 있습니다.

[앵커]

박근혜 전 대통령의 경우에는 어떻습니까?

[기자]

네, 지금 이관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데요. 미리 이관된 문서를 보면요.

현재까지 8만 3000여 건이 대통령 기록관으로 넘어간 상태입니다. 그중 비전자 문서는 5200여 건입니다. 전임 대통령과 비교해보면 아직도 수백만 건이 더 넘어가야 하고, 비전자 문서 역시 수십만 건이 더 이관돼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박 전 대통령은 대면보다는 서면보고를 많이 받았기 때문에 문서가 더 많을 것이다, 이런 지금 추측이 나오고 있는데요. 이런 상황에서 지금 청와대의 문서 파기 우려가 제기되고 있고 실제 문서 세단기를 무더기로 구매한 정황이 사실로 드러난 겁니다.

[앵커]

그런데 지금까지만 보면 청와대 문서를 파기했는지는 확인이 안 되는 상황이죠?

[기자]

그렇습니다. 일단 검찰과 특검의 압수수색이 무산됐기 때문에 어떤 문건이 존재하는지 그리고 수사 증거가 되는 문건들이 파기됐는지 확인하지 못한 상황입니다. 대통령기록관 역시 청와대가 넘긴 기록물을 관리하기 때문에 은닉하거나 파기한 것을 검증할 방법이 사실상 없습니다.

대통령기록관에서는 지난 13일에 파기나 은닉에 대한 경고 공문을 보냈다곤 하는데 얼마나 효력이 있을지는 미지수입니다.

[앵커]

그래서 빨리 압수수색을 해야 한다는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검찰이 청와대 압수수색을 하면 먼저 범죄와 관련된 핵심 문건들을 확보할 수가 있는 것이고요. 확보는 못하더라도 파기했다면 여부를 확인해 관련자에 대해 책임을 물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청와대 참모들에 대한 사표가 반려된 상황이고 청와대는 아직도 검찰 압수수색에는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습니다.

Copyright © JTBC.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