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가 15일 오후 2시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5월 9일을 대선일로 지정해 공고할 예정인 가운데 다시한번 ‘5월 임시공휴일’이 화제로 떠올랐다.
달력에 인쇄된 4월말~5월 달력을 보면 ‘4월 29일(토)-30일(일)-5월 1일(월) 노동절-3일(수) 석가탄신일-5일(금) 어린이날-6일(토)-7일(일)’이다. 5월 2일(화)과 4일(목)만 쉰다면 최장 9일 동안 ‘황금연휴’가 이어진다.

소비진작에 목말라 있는 정부로는 5월2일과 4일을 임시공휴일 지정을 검토해볼만하지만 헌법재판소의 박근혜 전 대통령 파면 결정에 따라 조기대선이 치러지는 관계로 또다시 변수가 등장했다.
대통령선거일로 예정인 5월9일은 임시공휴일로 지정될 가능성이 크다. 그렇게되면 5월 4일부터 이틀동안 사전투표가 진행된다.
따라서 정부가 사전투표일을 투표율을 낮추는 임시공휴일로 지정할 가능성은 크게 낮아진다.
대통령 파면결정이 되기전에도 기획재정부는 “5월 임시공휴일 지정을 전혀 생각하지 않고 있다”고 밝힌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