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혼 직장인 절반 "맞벌이 거부는 결혼 불가 사유 해당"
|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847명을 대상으로 ‘맞벌이 의향’을 주제로 조사한 결과, 미혼 직장인(534명)의 대부분인 93.4%가 ‘결혼 후 맞벌이를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
취업포털 사람인이 직장인 847명을 대상으로 ‘맞벌이 의향’을 주제로 조사한 결과, 미혼 직장인(534명)의 대부분인 93.4%가 ‘결혼 후 맞벌이를 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지난해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80.9%)보다 맞벌이를 하겠다는 응답이 12.5%p 증가했다.
맞벌이를 하려는 이유로는 ‘경제적으로 여유 있게 생활하고 싶어서’(71.9%·복수응답)를 첫 번째로 꼽았고, ‘외벌이로는 생활비가 부족해서’(68.1%)가 그 뒤를 이었다. 이어 ‘노후를 대비하기 위해서’(47.5%), ‘각자 자아실현을 할 수 있어서’(34.5%), ‘자녀 양육비를 위해서’(30.7%), ‘각자 경제적 독립이 필요해서’(25.9%), ‘대출금 등 빚을 빨리 갚기 위해서’(21.8%) 등의 답변이 뒤를 이었다.
예상하는 맞벌이 중단 시기는 ‘일할 능력이 될 때까지’(54.9%)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이어 ‘경제적으로 충분히 여유 있을 때까지’(23.8%), ‘자녀를 낳을 때까지’(5.6%), ‘노후자금이 충분히 마련될 때까지’(4.6%) 순이었다.
또, 직장인 절반(48.3%)정도는 결혼하려는 상대가 맞벌이를 할 의향이 없다면 결혼 불가 사유가 될 수 있다고 밝혔다.
맞벌이를 할 경우 적당하다고 생각하는 부부간 가사분담 비율은 평균 48:52(남성:여성)로, 부부가 대략 절반씩 나눠 하기를 원하고 있었다.
상대의 수입이 충분할 경우 맞벌이를 하지 않을 의향이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과반 이상인 70.1%가 ‘그렇다’라고 답했다. 이때, 배우자의 월 수입은(실수령액 기준) 평균 628만원으로 집계되었다.
그렇다면, 기혼 직장인들이 체감하는 맞벌이는 어떨까? 기혼 직장인(313명) 중 65.2%가 현재 맞벌이를 하고 있으며, 만족 여부에 대해 ‘만족한다’(70.6%)는 응답이 ‘불만족한다’(29.4%)보다 2배 이상 더 많았다.
그 이유로는 ‘경제적으로 안정적인 삶을 살 수 있어서’(72.2%, 복수응답), ‘자아실현 등 개인 삶의 질을 높여서’(36.8%), ‘자녀 및 부모님 경제적 지원이 수월해서’(31.9%), ‘각자 독립된 경제권을 가지고 있어서’(19.4%), ‘회사생활의 어려움을 잘 이해해줘서’(16.7%) 등을 들었다.
맞벌이로 버는 부부 공동의 월 수입은 ‘450~500만원 미만’(16.7%), ‘600~650만원 미만’(13.7%), ‘500~550만원 미만’(12.7%), ‘350~400만원 미만’(10.3%), ‘400~450만원 미만’(9.3%), ‘550~600만원 미만’(7.4%) 등의 순으로 답해, 평균 543만원이었다.
하지만, 맞벌이를 하면서 받는 스트레스 여부에 대해 대부분인 92.6%가 ‘있다’라고 답했으며, 이들이 받는 스트레스 1위는 ‘회사와 가사일의 병행’(60.3%·복수응답)인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고생하는 것에 비해 적은 수입과 저축액’(48.7%), ‘자녀 직접 양육 문제’(33.3%), ‘가사 분담 정도에 대한 갈등’(29.1%), ‘자녀 교육 문제’(27%), ‘회사 스트레스로 인한 잦은 화풀이’(22.2%) 등을 꼽았다.
실제 가사 분담은 평균 36:64(남성:여성)로 한다고 답해, 미혼 직장인이 기대하는 것보다는 여성의 가사분담 비율이 더 높았다.
또, 자녀가 있는 맞벌이 직장인(125명)들의 경우, 80%는 자녀 양육 문제로 일을 그만두고 싶을 때가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육아와 병행하느라 체력적으로 힘들 때’(52%, 복수응답), ‘자녀와 충분히 소통하지 못할 때’(50%), ‘육아분담이 불균형해 부부갈등이 생길 때’(26%), ‘직장에서 눈치를 줄 때’(25%), ‘대신 봐주는 부모님에게 눈치 보일 때’(24%) 등이 있었다.
동아닷컴 최용석 기자 duck8@donga.com
[☞ 동아오토 바로가기] |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대왕 카스테라의 배신 '식용유 숟가락으로 퍼먹는 수준'
- '탄핵폰' G6, 연간 판매 600만대 돌파하나
- 박 전 대통령은 청와대 진돗개 책임져야
- '흡연 경고그림' 도입에 담배 판매량 뚝..3개월째 감소
- 벤츠 '더 뉴 제네레이션 CLA' 2종 출시.. 5790만~7490만원
- 국회측 “미래의 독재자 차단”…尹측 “국헌수호 비상대권 행한 것”
- [속보]軍법원, 곽종근 前특전사령관 보석 허가…오전중 석방
- 선 넘는 ‘탄핵 찬반’… 화염병 제조법 올리고 “주먹질로 승부” 선동도
- 나사 풀린 백악관…韓 관세율 26%→25% 수정해 공고
- ‘삼성-LG 생산기지’ 베트남에 46% 관세, 스마트폰-가전 초비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