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인터넷 뉴스 이용률 70%..5년새 3.5배 급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률(모바일 뉴스 이용률)이 처음으로 70%대를 넘었다.
20~30대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은 2013년부터 95%대를 웃돌았으나, 모바일 뉴스 이용률이 90%대를 넘은 것은 2016년이 처음이다.
메시징 서비스를 통한 뉴스 이용률은 14.7%, SNS를 통한 뉴스 이용률은 14.9%로 조사되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률(모바일 뉴스 이용률)이 처음으로 70%대를 넘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은 7일 '2016 언론수용자 의식조사'를 발표했다.
눈에 띄는 수치는 모바일 뉴스 이용률이다. 모바일 뉴스 이용률은 70.9%로 나타났다.
2011년 조사 당시 19.5%에 비하면 5년 사이에 3.5배 급증한 것이다.
이는 모바일 인터넷이 뉴스 이용에서 보편적 플랫폼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는 의미다.
2040세대의 모바일 뉴스 이용률은 평균 90%대에 달했고(20대 93.7%, 30대 93.3%, 40대 86.8%), 50대는 65%대를 돌파했다.
60대 이상의 모바일 뉴스 이용률도 2014년 12.4%에서 2016년 25.5%로 2배 이상 증가했다.
20~30대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은 2013년부터 95%대를 웃돌았으나, 모바일 뉴스 이용률이 90%대를 넘은 것은 2016년이 처음이다.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은 평균 79.5%로 나타났다.
2016년 처음으로 소셜미디어를 카카오톡 등 메시징 서비스와 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SNS로 분리해 조사한 결과, 메시징 서비스 이용률은 평균 71.2%, SNS 이용률은 47.6%였다.
메시징 서비스를 통한 뉴스 이용률은 14.7%, SNS를 통한 뉴스 이용률은 14.9%로 조사되었다. 성인 7명 중 1명은 카카오톡과 같은 메시징 서비스로 뉴스를 이용한다는 의미다.
국내 최초로 조사한 1인 방송 이용률은 평균 6.1%로, '2016 10대 미디어 이용 조사'의 청소년 이용률 26.7%에 비해 낮은 수치였다.
‘언론수용자 의식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이용자의 행태 및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1984년 ‘제1회 전국 신문독자 의식조사’로 시작되어 2016년에 21회를 맞았다.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5,128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이용행태와 언론에 대한 인식, 평가 등을 조사한 결과를 담았다.
조사 전문은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CBS노컷뉴스 유연석 기자] yooys@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빠, 나 콜수 못 채웠어" 어느 여고생의 죽음
- 김진태 의원 측 '미흡 대응'에 송일국 가족 '애꿎은 불똥'
- 제 덫에 걸린 '꼿꼿' 홍준표, 한국당에 고개숙일까
- 美 해병 음란사이트서 女 해병 누드사진 유포..수사착수
- [단독] 경제살린다는 '원샷법'..알고보니 삼성뇌물과 빅딜
- 朴대통령은 왜 그날 미용사를 부르지 않았을까
- [단독]특검 "우병우 검찰수사 부실했다..시나리오 의심"
- 탄핵반대 집회 광고에 '삼둥이' 사진..송일국 "정치적 이용말라"
- "살만큼 살았다"..박사모 "탄핵 인용되면 개별행동" 예고
- [단독인터뷰] '탄핵 심판 초읽기' 최재석 씨, "진짜 싸움은 지금부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