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인터넷 뉴스 이용률 70%..5년새 3.5배 급증

CBS노컷뉴스 유연석 기자 2017. 3. 7. 21: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률(모바일 뉴스 이용률)이 처음으로 70%대를 넘었다.

20~30대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은 2013년부터 95%대를 웃돌았으나, 모바일 뉴스 이용률이 90%대를 넘은 것은 2016년이 처음이다.

메시징 서비스를 통한 뉴스 이용률은 14.7%, SNS를 통한 뉴스 이용률은 14.9%로 조사되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언론수용자 의식 조사' 발표

모바일 인터넷을 통한 뉴스 이용률(모바일 뉴스 이용률)이 처음으로 70%대를 넘었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이사장 김병호)은 7일 '2016 언론수용자 의식조사'를 발표했다.

눈에 띄는 수치는 모바일 뉴스 이용률이다. 모바일 뉴스 이용률은 70.9%로 나타났다.

2011년 조사 당시 19.5%에 비하면 5년 사이에 3.5배 급증한 것이다.

이는 모바일 인터넷이 뉴스 이용에서 보편적 플랫폼으로 확고하게 자리 잡았다는 의미다.

2040세대의 모바일 뉴스 이용률은 평균 90%대에 달했고(20대 93.7%, 30대 93.3%, 40대 86.8%), 50대는 65%대를 돌파했다.

60대 이상의 모바일 뉴스 이용률도 2014년 12.4%에서 2016년 25.5%로 2배 이상 증가했다.

20~30대의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은 2013년부터 95%대를 웃돌았으나, 모바일 뉴스 이용률이 90%대를 넘은 것은 2016년이 처음이다. 모바일 인터넷 이용률은 평균 79.5%로 나타났다.

2016년 처음으로 소셜미디어를 카카오톡 등 메시징 서비스와 페이스북으로 대표되는 SNS로 분리해 조사한 결과, 메시징 서비스 이용률은 평균 71.2%, SNS 이용률은 47.6%였다.

메시징 서비스를 통한 뉴스 이용률은 14.7%, SNS를 통한 뉴스 이용률은 14.9%로 조사되었다. 성인 7명 중 1명은 카카오톡과 같은 메시징 서비스로 뉴스를 이용한다는 의미다.

국내 최초로 조사한 1인 방송 이용률은 평균 6.1%로, '2016 10대 미디어 이용 조사'의 청소년 이용률 26.7%에 비해 낮은 수치였다.

‘언론수용자 의식조사’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이 미디어 환경 변화에 따른 이용자의 행태 및 인식을 조사하기 위해 실시한 것이다.

1984년 ‘제1회 전국 신문독자 의식조사’로 시작되어 2016년에 21회를 맞았다.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5,128명을 대상으로 미디어 이용행태와 언론에 대한 인식, 평가 등을 조사한 결과를 담았다.

조사 전문은 한국언론진흥재단 홈페이지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CBS노컷뉴스 유연석 기자] yooys@cbs.co.kr

Copyright © 노컷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