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사드 보복]'사드 보복' 해제 여부, 미국만 바라보는 한국
[경향신문] ㆍ틸러슨 국무, 이달 한·중·일 순방…정부 상당한 기대감
ㆍ일각선 “중, 외교마찰 우려…미 요구 거부 못할 가능성”
ㆍ첫 미·중 정상회담 앞두고 ‘사드 배치 유예’ 타협 관측도
렉스 틸러슨 미 국무장관(사진)이 이달 내에 한·중·일 아시아 3개국을 순방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미 국무장관의 첫 중국 방문이라는 점에서 한반도 문제를 포함한 미국의 아시아 전략의 방향이 구체적으로 드러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미국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사드) 한반도 배치에 중국이 반발하며 한국에 대한 보복 조치를 본격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드 배치 문제의 당사국인 미국이 직접 중국과 이 문제를 논의할 것으로 보여 결과가 주목된다.
교도통신은 4일 이달 하순쯤 한국과 중국, 일본을 순방한다고 외교 소식통의 말을 인용 보도하면서 틸러슨 장관이 중국에 사드 보복 중단을 요구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익명을 요구한 중국 전문가는 “미국이 중국에 보복 조치 중단을 강하게 요구한다면 한국 입장에서는 상황을 돌파하는 데 촉진제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특히 틸러슨 장관의 이번 중국 방문에서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의 4월 미국 방문 및 미·중 정상회담 개최 문제가 논의될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행정부와의 성공적인 첫 미·중 정상회담에 많은 무게를 두고 있는 중국이 미국의 사드 보복 중단 요구를 일축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중국이 북핵 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나설 것을 약속하고 미국이 사드 배치를 유예하는 타협안이 나올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되고 있다.
틸러슨 장관은 또 북한의 탄도미사일 발사, 김정남 피살 사건 등에 대해 논의하고 북한의 핵무장 의지를 꺾기 위해 중국이 가진 모든 영향력을 행사해줄 것을 강하게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의 사드 보복과 북한발 위협이라는 난제를 타개할 마땅한 독자 카드를 갖고 있지 않은 한국은 틸러슨 장관의 동북아시아 방문에 상당한 기대를 걸 수밖에 없다.
정부 당국자는 “미·중 간 논의에서 중국이 북한 문제에 미온적 태도를 유지한다면 미국의 대중국, 대북 정책이 강경해질 수 있다”면서 “중국도 국내정치 사정 등을 고려해 미국과 외교마찰을 최소화하고 싶어 하기 때문에 미국 요구를 무시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틸러슨 장관의 구체적 순방 일정은 각국 정치 일정 등을 고려해 조정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요미우리신문은 이달 5~15일까지 베이징(北京)에서 개최되는 전국인민대표대회를 감안해 틸러슨 장관의 일정을 조정 중이라고 전했다.
<유신모 기자·도쿄 | 윤희일 특파원 simo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중국 '사드 보복']'애국주의 불매운동' 단골 일본, 대중 수출 낮추며 장기적 대응
- [중국 '사드 보복']롯데마트 영업정지·한국 식품 통관 거부..더 세진 중국 압박
- [중국 '사드 보복']무역·내수 중국 의존도 높은 탓..충격 가시화 땐 경제전반 '타격'
- [중국 '사드 보복']윤병세 "사드 조기 배치해야 안보 위기 극복에 도움"
- 이복현 사의 표명…“상법 거부권, 윤 대통령 있었다면 행사 안 했을 것”
- [단독]시민 폭행한 ‘UDT 출신’ 보수 유튜버, 경찰은 “조치할 권한 없다” 뒷짐
- [스팟+터뷰] 박범계 “헌재 선고일 지정은 ‘이견 해소’…윤석열 복귀해도 국민이 끌어낸다”
- 주한미군 “한국 계엄령 안 따라”···개인 SNS 글에 “거짓” 일일이 지적
- 국힘 김미애, 장제원 겨냥 “누구든 돈과 권력으로 범죄 저질러선 안돼”
- ‘1호 헌법연구관’의 확신 “윤석열, 만장일치 파면…기각 땐 군사 독재 시대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