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동욱의 파피루스] 대통령은 왜 질문받는 것을 싫어할까

입력 2017. 2. 25. 03:36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신문]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대통령이 피하고 싶어 하는 일은 헌재와 특검에 나와 질문받고 대답하는 일이다. 이 사실은 대답하는 자로서 인간의 근본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최초의 철학자들인 고대 그리스인들은 인간을 ‘조온 로곤 에콘’이라고 정의했는데, ‘말할 수 있는 생명’이라는 뜻이다. 그리고 말함의 근본은 질문과 대답, 즉 대화다.

질문과 대답은 진리와 도덕 양 측면에서 인류의 문명을 이끌어 온 근본적인 동력이다. 진리의 측면은 철학자 소크라테스의 질문이 대표한다. 그는 어디서건 사람들에게 질문을 던지고, 참다운 대답을 유도하며 진리에 도달하고자 했다. 질문과 대답이 지닌 도덕적 측면은 아담에게 떨어진 ‘너 어디 있느냐’는 성서의 질문이 대표할 것이다. 이 질문은 죄의 은신처 속에 숨어 있던 최초의 인간을 바깥으로 이끌어 낸다.

이렇게 질문과 대답이라는 삶의 방식 속에서 인간은 지식을 쌓아 올리고 도덕을 지켜 왔다. 그런데 질문받고 대답하는 일이 대통령에겐 왜 싫은 일이 된 것일까.

도대체 말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말을 하는 일 속에서 일어나는 일이 무엇인지 잘 보여 주는 영화가 있다. ‘러시아 하우스’(1990)는 일종의 이중간첩 상황에 관한 이야기다. CIA는 발리(숀 코너리 분)를 통해 러시아의 군사기밀을 알아내려고 하지만 고민에 빠진다. 기밀을 알아내려면 알고 싶은 것에 대해 질문해야 할 것 아닌가. 그런데 질문한다는 것은 곧 자신이 무엇을 모르는지 약점을 상대방에게 노출하는 일이 된다. 말하기의 어려움이란 바로 ‘노출’에 있다.

아주 짧은 한마디의 말조차 말하는 자에 대한 정보를 노출하는데, 프루스트의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가 좋은 예를 보여 준다. 동성애자 샤를뤼스는 살롱에서 음료를 마시기 위해 ‘딸기술요’라고 말하는데, 이 한마디는 샤를뤼스 안에 ‘얌전한 귀부인’이 들어 있음을, 바로 그의 영혼이 여성임을 노출한다. 대통령의 지난 기자간담회 역시 말하기가 얼마나 순식간에 말하는 자를 노출하는지 잘 보여 주는 예가 될 것이다. 가령 ‘엮였다’와 같은 단순한 동사는 마치 엄청난 용량의 소형 USB처럼 정보의 종합 세트로서 대통령의 잘못된 상황 인식, 문제에 대면하는 방식, 언어 구사의 수준 등등을 한꺼번에 콸콸 쏟아 냈다.

그런데 말 가운데 ‘대답’은 말하는 자를 가장 강력한 방식으로 노출한다. 왜 가장 강력한 방식인가. 대답은 말하는 자를 그저 노출하는 것이 아니라, 판정의 자리에서 노출하기 때문이다. 대답은 진리의 관점에서 맞았다와 틀렸다의 판정 속에서, 도덕의 관점에서 잘했다와 잘못했다의 판정 속에서 말하는 자를 노출한다.

가령 내가 어떤 도움을 청하는 편지를 받았다고 하자. 나는 이에 대해 거절할 수도 응할 수도 있고, 심지어 못 받은 척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모든 경우는 나의 대답 방식이다. 그리고 이 대답 모두는 각각의 방식으로 나를 심판받는 자리에 세운다.

대답의 여부에 따라 나는 칭찬받는 자도 비난받는 자도 된다. 나의 대답은 심판 아래서 내가 스스로 책임지게 한다. 그러니 책임을 진다는 것은 바로 질문이나 요구에 ‘대답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문자 그대로 책임성(responsibility)이란 말은 ‘대답(respond)할 수 있는 능력(ability)이 있다’는 단어들을 한 단어로 집약한 것이다.

인간이란 매 순간의 대답을 통해 실시간 자신을 심판의 자리에 노출하는 자라는 사실은 인간 주체(subject)의 의미 역시 새롭게 생각해 보도록 한다. 인간은 혼자만의 독자성 속에서 주체가 되는 것이 아니다. 그는 늘 질문과 대답의 관계를 통해 타인과 연결돼 있다. 원치 않더라도 타인은 늘 질문을 통해서 심판의 자리로 나를 소환한다.

“아빠 이거 뭐야?” “몰라” “에이 그것도 몰라?” 이런 아이와 어른 사이의 간단한 대화 속에도 심판이 도사리고 있고, 인간은 이 심판받는 자리에서 그때그때 세상 밖으로 자신을 노출한다. 주체란 ‘대답 속에서 타인에게 자신을 제시하는 자’ 외에 다른 것이 아니다. 이런 것이 인간이라면, 인간에겐 대답의 자리를 피하려는 시도만큼 부질없는 것도 없으리라. 침묵조차 하나의 대답으로서 침묵한 자를 심판의 자리로 데려온다.

▶ 환경보호 하느라 샤샤샤~ 알뜰살뜰 아이디어 넘치는 당신이라면? (6월 19일까지 참여하세요.)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