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장겸 MBC 신임 사장 탄핵 시계 돌기 시작했다
“방송농단 주범의 사장 선임은 공영방송 망가뜨리려는 폭거”… 고영주 “김장겸, 임기 못 채울 것”
“너무 부끄럽고 참담하다. 김장겸이 좋은 기사를 썼다거나 좋은 기자였다는 말을 들어본 적이 없다. 경영진으로서 좋은 성과를 낸 것도 아니다. 신뢰도·시청률을 최악으로 만들어 놓고 무슨 성과를 냈다고 사장에 응모했는지 상식적으로 납득이 안 간다.”
지난 23일 저녁 김장겸 전 보도본부장이 공영방송 MBC 신임 사장으로 선임된 후 서울 상암동 MBC 사옥 앞 광장에선 열린 ‘MBC 분노의 날’ 촛불집회에서 한 MBC 기자는 “괴물 같은 결과가 초래됐다”며 이 같이 말했다. 이 기자는 “이런 참담한 결과가 초래될 동안 왜 진작 함량 미달의 부적격 기자가 보도국에서 걸러지지 못했는지 우리 스스로 반성해야 한다”고 했다.
24일 오전 김장겸 신임 사장의 출근 첫날부터 MBC 구성원들이 ‘사장 아님’을 선포했듯, 사상 초유로 방송문화진흥회 야당 추천 이사들이 모두 표결을 ‘보이콧’한 채 청와대 추천 이사 6명이 뽑은 MBC 신임 사장에 대해 정치권과 언론계에서도 정당성을 잃은 ‘시한부’ 사장이라는 비판의 목소리가 높다.
|
경향신문은 “정권 교체가 되더라도 MBC를 보수정당의 영향력 아래에 두기 위해 ‘알박기 인사’를 강행한 것”이라며 “방문진이 MBC 새 사장을 선임했지만 방송법·방문진법 개정안 등 언론장악방지법이 국회를 통과하면 ‘시한부 사장’이 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고영주 방문진 이사장도 23일 김장겸 전 본부장을 신임 사장으로 내정한 후 MBC 해직PD인 최승호 뉴스타파 앵커와 인터뷰에서 “지금 (국회에서) 법 개정해서 바꾸겠다는데 (사장 임기가) 3년까지 가겠느냐”고 말했다.
고 이사장은 ‘시한부’ 사장이 될지도 모르는데 굳이 사장 선임을 강행한 이유는 MBC를 박근혜 탄핵 반대 세력의 기지로 만들려고 하는 것 아니냐는 질문에 “우린 법상 우리에게 주어진 의무를 다하는 것이므로 오해가 없었으면 좋겠다”면서 “누구 의견을 듣고 안 듣고의 문제가 아니다”고 반박했다.
고 이사장은 방문진이 김장겸 신임 사장을 내정한 이유에 대해 “지금 이 상황에서 MBC를 제대로 끌고 갈 만한 사람이라고 판단한 것 같다”고 설명했다. MBC 시청률과 신뢰도를 추락시킨 보도본부장이라는 지적에 대해선 “애국(친박·극우) 시민들이 MBC가 가장 공정한 방송을 하고 있다고 한다”고 강변했다.
MBC ‘뉴스데스크’가 ‘청와데스크’라는 힐난을 받고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국면에서도 대통령과 최순실의 ‘입노릇’을 했다는 비판에도 “우리 뉴스가 중심을 잘 잡고 있다”는 김장겸 전 보도본부장의 ‘정신 승리’가 방문진, 아니 대통령의 눈에 흡족하게 들어 ‘낙점’됐다는 설이 진작부터 파다했던 까닭이다.
|
한겨레는 “방문진이 이런 인물을 새 사장으로 밀어붙인 것은 한 줌 극우세력의 소굴로 추락한 MBC의 지금 체제를 다가온 대선 이후에도 유지하겠다는 뜻으로 ‘박근혜 없는 박근혜 방송’을 계속하겠다는 속셈”이라며 “사태가 여기까지 오게 된 데는 방송장악방지법을 통과시키지 못한 국회에도 책임이 있다. 야당은 이제라도 방송장악방지법 통과에 온 힘을 기울이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
전국 민언련은 “이 시각 김씨 머리가 MBC를 쥐락펴락할 생각으로 가득 차 있다가는 ‘언론장악 적폐 청산’과 ‘공정방송’을 바라는 시민들, 그리고 양심적인 MBC 구성원들에 의해 끌려 나올 것이 명약관화”라며 “혹여 방문진 일부 세력과 MBC 경영진이 썩은 동아줄이 된 박근혜 정권과 수구·종박 세력을 뒷배로 생각하고 있다면 이들과 함께 탄핵의 운명을 맞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미디어오늘을 지지·격려하는 [가장 확실한 방법]
Copyrights ⓒ 미디어오늘.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Copyright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