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체인은 전자정부 이끌 미래의 인프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블록체인(Blockchain)이 차세대 전자정부를 이끌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을 전자투표, 전자계약, 주민등록·전자문서 관리 등 전자정부 솔루션에 도입해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정윤기 행자부 전자정부국장은 "이번 토론회는 블록체인 기술의 공공 분야 적용 방안에 대해 토론하는 기회로, 공공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시장을 창출하고 관련 기업들의 판로를 확보하는 등 국내 블록체인 기술 발전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민·관 전문가 등 120명 참석
금융 이어 공공기관 도입 논의
"국내 기술발전의 마중물 될 것"
블록체인(Blockchain)이 차세대 전자정부를 이끌 기술로 주목받고 있다. 블록체인을 전자투표, 전자계약, 주민등록·전자문서 관리 등 전자정부 솔루션에 도입해 효율성과 투명성을 높인다는 전략이다. 블록체인은 분산 데이터베이스(DB)의 한 형태로, 데이터의 관리·기록에 대한 권한을 중앙시스템 없이 여러 DB에 분산해 관리하는 기술이다.
22일 행정자치부는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 국제회의장에서 '블록체인이 여는 정부의 새로운 미래'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행사에는 블록체인 분야 전문가, 전자정부 민관협력포럼 지능정보기술분과 위원 등 120여명이 참석했다. 이날 주제연설을 한 박성준 동국대학교 국제정보보호대학원 블록체인 연구센터장은 "블록체인은 분산DB, 암호 화폐, 스마트 계약 등이 가능한 플랫폼"이라며 "제2의 인터넷이자 미래세상의 인프라"라고 강조했다.
이에 어준선 코인플러그 대표는 블록체인을 활용해 행정정보 공동이용 기반조성, 기관 간 협업 확대, 공공서비스 인증, 공공데이터 거래 등 공공서비스 전달체계 개선이 가능하다고 발표했다. 전자투표를 위해 구축한 블록체인으로 투표내용을 암호화하되, 투표결과는 공개하도록 한다는 것이다. 또 주민등록 전자문서는 암호화하고 열람 가능한 자만 복호화 가능하도록 한다. 부동산 등기는 법원 등기소와 부동산 등기를 열람하고자 하는 사람이 블록체인에 참여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실제 IBM이 지난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까지 세계 정부기관의 14%가 블록체인을 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미국은 블록체인 기반 의료정보 공유시스템 도입을 검토 중인 한편 전자투표에 블록체인을 활용하고 있다. 영국은 공공서비스 전반에 블록체인과 스마트계약 적용을 추진 중이고, 스웨덴은 블록체인 기반 토지 등기부 등본 저장과 스마트계약을 도입했다.
우리나라의 경우 지난해 금융권을 중심으로 블록체인 도입이 확산되고 있다. 정윤기 행자부 전자정부국장은 "이번 토론회는 블록체인 기술의 공공 분야 적용 방안에 대해 토론하는 기회로, 공공에서 블록체인 기술을 선제적으로 도입해 시장을 창출하고 관련 기업들의 판로를 확보하는 등 국내 블록체인 기술 발전의 마중물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송혜리기자 shl@dt.co.kr
< Copyrights ⓒ 디지털타임스 & d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사상 첫 세계 프리미엄TV 왕좌오른 LG..이것이 달랐다
- 깊숙한 코너링도 능숙하게~ '반자율주행'BMW 5시리즈
- 사람 목소리 알아듣는 SKT 차세대 AI로봇 공개
- 반도체·디스플레이 장비업체 '공격적 R&D'투자
- '택시비도 자동결제'유커들도 반할 카카오페이
- 사전예약해도 차량인도 수개월..수입차에 무슨일이
- 원안위, 국내 최초 원전 고리 1호기 해체 승인… 원전 해체 시장 열렸다
- "선생님, 보험 안 돼도 로봇수술로 해주세요"…수술 로봇 수입 1년 새 57% 증가
- 트럼프, 이란과 핵협상 한다면서 무력충돌 가능성도 제기
- 하반기 산업기상도 반도체·디스플레이 `맑음`, 철강·자동차 `흐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