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문재인이든 안희정이든..역선택, 의미없다" 자신감
[머니투데이 최경민 기자] [[the300]"역선택, 오히려 자살골…50만명 이상 참여하면 의미도 없어"]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경선의 변수로 '역(逆)선택'이 떠오르고 있다. 유력 후보인 문재인 전 대표의 낙선을 위해 다른당 지지자들이 전략적으로 민주당 경선에 참여할 것이라는 예상이 우려의 출발점이다. 하지만 당 지도부는 '역선택은 없다'며 잘라말한다. "해볼테면 해보라"는 자신감까지 드러낸다.
19일 민주당에 따르면 이날 오전까지 제19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선거인단 모집에 37만명이 넘게 몰렸다. 신청기간이 탄핵심판일 3일전까지 이어지고 탄핵 인용 후 2차 모집이 이뤄지는 것을 고려했을 때 200만명 이상의 선거인단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당은 기대하고 있다.
2012년(100만명 정도) 대비 2배 이상 선거인단이 늘어나는 셈이다. 문 전 대표, 안희정 충남지사, 이재명 성남시장 등 이른바 '빅3 후보'의 존재로 민주당 경선이 '사실상의 본선'으로 불리며 흥행력이 높아진 덕이다. 20일부터 일반 은행권 무료 공인인증서를 통한 온라인 등록까지 시작되면 선거인단 모집 속도는 더 빨라질 전망이다.
흥행 '대박'에 따른 부작용으로 거론되는 게 '역선택'이다. 완전국민경선 특성상 자유한국당·국민의당·바른정당 지지자들도 경선에 참여할 수 있는데, 이들이 표심을 왜곡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지지율 1위를 질주하고 있는 문 전 대표의 낙선을 보수진영이 노릴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박사모(박근혜를 사랑하는 모임)와 같은 보수단체의 경선 개입 가능성이 거론되며 '문팬'의 경계심도 높아지고 있다.
문 전 대표도 최근 "경쟁 당에서 의도적·조직적으로 역선택을 독려하는 움직임이 있다면 대단히 비열한 행위"라며 "처벌받아야 할 범죄행위"라고 주장했다. 추미애 대표는 "특정 세력이 특정 후보를 겨냥해 (경선을) 방해를 하려는 태세가 보인다. 업무방해죄로 고발할 수 있다"며 법적조치까지 거론했다.
하지만 당 내에서는 보수세력이 섣불리 역선택에 나서지 못할 것으로 보는 시각이 우세하다. '문재인 낙마'가 실제로 발생했을 경우 일어날 ‘안희정 또는 이재명’ 바람의 크기를 상상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대세론을 꺾은 바람의 크기는 과거 노무현 전 대통령이 증명했던 바 있다. 다른 당에서 결코 바라지 않는 시나리오가 '대세론을 잠재워 성장 동력까지 확보한 민주당 후보의 탄생'인데, 이것을 보수진영이 알아서 실현해 줄 리가 없다는 얘기다.
특히 안 지사의 경우 중도·보수로의 확장성까지 가진 후보라는 점에서 보수진영이 표를 조직적으로 몰아줄 가능성이 더 떨어진다는 지적도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표의 확장성은 보수에 '안티'가 많은 문 전 대표보다 안 지사가 더 가지고 있다”면서 “보수진영이 문 전 대표에 대해 역선택을 한다면 오히려 자살골을 넣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속도로에서 앞차를 추월하면 그 앞에 또 다른 차가 있는 것과 같은 이치”라며 “끝까지 추월을 못 한다”고 덧붙였다.
반대편에선 안 지사에 대한 ‘역선택’ 가능성도 나온다. ‘문재인 대세론’을 공고히 해 경선의 ‘김을 빼는’ 시나리오다. 당 지도부는 이런 시도도 무의미한 수준이 될 것이라고 장담한다. 국민경선 참여자가 200만명에 달하면 역선택 효과가 가시화되기 쉽지 않다는 이유에서다. 우상호 원내대표도 "한번도 실체가 확인되지 않은 것이 역선택이란 용어"라고 잘라말했다. 한 지도부 인사는 "50면명 이상만 참여해도 역선택의 의미는 사실상 없어지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각 캠프와 논의를 거쳐 경선룰을 만들 때도 역선택에 대한 고려를 이미 했다”고 설명했다.
최경민 기자 brown@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