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기 6000마리였던 호랑이, 목화씨 때문에 절멸했다

유석재 기자 2017. 2. 18. 03:06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한반도 생태, 조선시대 크게 변화.. 경작지 개발로 호랑이 살 곳 잃어
야생동물 수 줄고 가축 수는 증가, 급증한 소 때문에 전염병 돌기도
"과거 알아야 환경 위기 극복 가능"

조선의 생태환경사

김동진 지음 | 푸른역사 | 364쪽 | 2만원

"이제부터 한 사람이라도 호랑이 때문에 상하는 백성이 있다면 너희에게 죄를 묻겠다!" 1402년, 지방 수령들에게 호통을 치는 조선 태종의 목소리엔 위급함이 담겨 있었다. '마마' '전쟁'과 더불어 옛날 어린이들에게 가장 무서운 재앙이었던 '호환(虎患·호랑이에게 당하는 화)'은 국가 차원에서 대처해야 할 심각한 사회 문제였다. 경작지를 넓히려는 인간이 서식지를 지키려는 호랑이에게 역습당하는 사고가 수시로 생겨났던 것이다.

조선 왕조는 태종 때부터 착호갑사(捉虎甲士)라는 전문 군사를 양성해서 호랑이 잡기에 나섰다. 호랑이 입장에선 재앙과도 같은 일이었지만, 사실은 더 근본적인 변화가 함께 일어나고 있었다. 고려 말 문익점이 가져 온 목화씨 때문에 면포 수요가 늘어나면서 빈 땅들이 속속 밭으로 변신했다. 야생동물이 어슬렁거리던 냇가 무너미(범람원)는 15~16세기에 점차 경작지로 바뀌었고, 17~19세기엔 고산지대의 평탄지와 완경사 지역이 화전(火田)으로 개발됐다. 야생동물이 마음놓고 살 만한 곳이 점점 줄어들고 있었다.

그래도 17세기 초까지는 전국에서 매년 1000마리 정도 호랑이와 표범을 사냥할 수 있었다. 출산 주기와 증식률을 따져 계산해 보면 당시까지 호랑이와 표범은 4000~6000마리 정도 존재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18세기에 들어서서 영조 즉위년인 1724년에는 각 군현에서 호피와 표피를 바치게 하던 제도를 폐지한다. 호랑이 수가 급격히 감소했다는 의미다. 호랑이 없는 골에 새로 왕노릇하는 동물도 출현하는데, 18세기 후반에는 주로 몽골 초원 지대에 살던 늑대가 한반도 곳곳에 많이 나타난다. 20세기 초 한반도의 호랑이는 약 20마리에 불과했고, 지금은 절멸했다.

조선시대를 다룬 수많은 책 가운데서도 이 연구서는 무척 새롭다. 사람 대신 사람을 둘러싼 '환경'을 중심에 놓은 저작이기 때문이다. 조선시대사 연구로 한국교원대에서 박사학위를 받은 저자는 서울대에서 수의과학·역사학 학제 간 연구에 참여했고, 생태환경사로 연구 범위를 넓혔다. 그는 이 책에서 '한반도의 자연환경은 산업화가 시작된 20세기에 들어와 망가지기 시작했을 것'이라는 막연한 짐작에 쐐기를 박는다. 이미 15~19세기 조선시대에 이 땅의 생태 환경이 급속한 변화를 겪었다는 얘기다.

사람 때문에 바뀐 환경은 또 다시 그곳에서 살아가는 인간의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대단히 중요하다. 한번 환경이 바뀌면 이전과 같은 삶으로는 돌아갈 수 없는 것이다. 그런 연구의 근거 중 대부분이 '기록의 왕국'이라 할 조선의 각종 문헌인 점도 흥미롭다.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를 비롯한 공식 기록은 물론 '임하필기' '산림경제' '수운잡방' 같은 개인 저술이 다양하게 응용된다.

예를 들어 15세기의 임목 축적량(단위 면적당 살아있는 나무의 부피)을 추산하기 위해 저자는 '경국대전'을 조사한다. 관청인 사재감·선공감에서 1년에 거둬들인 땔감의 양과 이 관청들이 나무를 가꿔 벌채하던 시장(柴場)의 면적을 따지고 땔감 채취 주기를 60년으로 했다. 그 결과 임목 축적량은 1㏊당 600㎥ 이상이었던 것으로 계산됐는데, 2010년의 임목 축적량이 1㏊당 125㎥인 것을 생각하면 상당히 풍성한 산림이 존재했었다는 얘기가 된다. 그것이 1910년 조사에서는 15세기의 7% 수준으로 급격히 줄어들었던 것이다.

환경은 인간의 필요에 의해 전혀 다른 방향으로 바뀌기도 했다. 야생동물의 개체 수가 줄어든 반면, 농사에 꼭 필요한 가축은 그 수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다. 조선 초만 해도 2만~3만 마리 정도였던 소는 16세기에는 40만 마리가 됐고, 17세기엔 100만 마리에 이르게 된다(2010년 현재 국내 소는 268만 마리). 소는 누가 키우나? 농민이다.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소는 부와 권력의 상징에서 보편적 농업의 동반자로 의미가 달라진 것이다.

그러나 사람과 가축과 야생동물의 접촉이 늘어나면서 미생물계에도 변화가 생겨나 전염병이 창궐하기도 했다. 소 때문에 번성한 홍역과 천연두는 숱한 인간을 고통에 빠뜨렸다, 저자는 기후변화, 종(種) 다양성의 감소, 바이러스 변이 등 현재의 환경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서 과거 생태 환경의 역사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고 말한다. 그런 위기를 처음 만든 사람은 현대인이 아니었던 것이다.

- Copyrights ⓒ 조선일보 & chosun.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