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최순실 게이트]특검 "박근혜·최순실도 블랙리스트 공범"

유희곤·이혜리 기자 2017. 1. 31. 22:35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경향신문] ㆍ김종덕 등 공소장에 규정
ㆍ“좌편향 문화예술계 문제” 박 대통령 청와대 발언 확보

박영수 특별검사팀이 ‘문화예술계 블랙리스트’ 작성·시행 혐의와 관련해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씨(61·구속기소)를 김기춘 전 대통령비서실장(78·구속 기소) 등의 ‘공범’으로 결론 내렸다. 특검의 블랙리스트 수사가 2월 초로 예정된 박 대통령 대면조사는 물론 헌법재판소의 박 대통령 탄핵심판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특검은 지난 30일 김종덕 전 문화체육관광부 장관(60) 등 블랙리스트 관련자 3명을 직권남용 등의 혐의로 구속 기소하면서 박 대통령을 블랙리스트 집행과 문체부 공무원 ‘찍어내기’의 공모자로 규정한 것으로 31일 확인됐다.

특검에 따르면 박 대통령은 2013년 9월30일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국정 지표가 문화 융성인데 좌편향 문화예술계에 문제가 많고 특히 롯데와 CJ 등 투자자가 협조를 하지 않아 문제”라는 취지로 말했다.

김 전 실장도 같은 해 8월21일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종북세력이 15년간 문화계를 장악했다”고 말했다. 9월9일에는 “영화 <천안함 프로젝트>가 (롯데)메가박스에서 상영되는 것은 종북세력이 의도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듬해 1월에는 “전투모드를 갖추고 불퇴전의 각오로 좌파세력과 싸워야 한다. 지금은 대통령 혼자 뛰고 있는데…”라는 말도 했다. 그는 “정권이 바뀌었는데 좌파들은 잘 먹고 사는 데 비해 우파들은 배고프다. 잘 해보라”고 비서관들을 독려하기도 했다.

청와대는 김 전 실장 주도로 ‘문제 단체’ 3000여개와 ‘좌편향 인사’ 8000여명의 데이터베이스(DB)를 구축했다. 이후 블랙리스트는 세월호 참사 이후인 2014년 5월 이후 본격적으로 작성됐다. 박 대통령은 블랙리스트에 소극적으로 대응했던 유진룡 당시 문체부 장관과 문체부 1급 공무원 3명의 사표를 받는 과정에서도 김 전 실장 등과 공모한 것으로 특검은 파악했다.

특검은 최순실씨도 블랙리스트와 관련해 박 대통령에게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잠정 결론 내렸다.

특검은 블랙리스트가 학문과 예술의 자유(헌법 제22조), 모든 국민이 문화 표현과 활동에서 차별을 받지 않을 권리(문화기본법 제4조)를 침해했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유희곤·이혜리 기자 hulk@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